✅ 2022-11-01 오늘의 이슈: 연준 긴축 끝? 빅오일 횡재세
https://www.bloomberg.co.kr/blog/five-tightening-end-oil-tax/
오늘의 5가지 이슈: 연준긴축 끝? 빅오일 횡재세 - Bloomberg Professional Services - Korea
Bloomberg Professional Services connect decision makers to a dynamic network of information, people and ideas.
www.bloomberg.co.kr
✅ 뉴욕 증시, 연준 금리 결정을 앞두고 약세.
■ 엑슨모빌 등 에너지주도 소위 ‘횡재세’ 보도에 상승폭 축소.
■ 유로존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비 10.7% 상승 발표로 미국채 등 글로벌 채권 금리 상승 자극.
■ 트레이더들이 연준 75bp 금리 인상 가능성에 포지션을 취하면서 월말 리밸런싱 자금 흐름에 달러 상승.
■ 올해 겨울 평년보다 더 추울 것이란 영국 기상청 경고에 파운드는 1% 넘게 밀렸다.
✅ 이번 FOMC에서 기준금리 75bp 인상 예상.
■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 파월 연준 의장 12월 50bp로 속도 조절 시사.
- 동시에 최종 금리 전망치를 9월 점도표에서 제기했던 4.6%에서 5.1%로 높일 것.
■ JP모간의 Marko Kolanovic는
- 글로벌 중앙은행들의 수십년래 가장 공격적인 금리 인상 주기가 이제 거의 끝나간다.
- 연준이 12월 50bp 인상과 내년 1분기 25bp 인상을 끝으로 긴축을 멈출 것.
✅ 영국 수낵 총리, 월요일 헌트 재무장관와 재정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증세에 의견을 같이 했다.
✅ 브라질 룰라 대통령 당선.
✅ 일론 머스크, 월요일 트위터 이사진 전원 해고.
✅ 애플, 산업디자인 책임자, Mary Demby 최고정보책임자 CIO, 온라인 리테일 담당 부사장 회사 떠나.
✅ 북한은 담화를 통해 한미 연합 공중훈련 ‘비질런트 스톰’(Vigilant Storm) 시작과 관련해 미국이 계속 군사적으로 도발할 경우 “보다 강화된 다음 단계 조치들”을 고려하겠다고 위협.
✅ ‘연준 긴축의 끝이 보인다’
■ 올해 주식시장 약세를 정확히 예측했던 모건스탠리 스트래티지스트 마이클 윌슨,
- 연준의 금리 인상 행진이 막바지에 이르고 있다고 진단.
- 미국채 3개월-10년 물 금리 역전 등 여러 지표가 “조만간 연준 피봇”을 지지한다.
- 따라서 이번 주 연준 회의는 랠리가 계속될지, 일시 중지될지, 아니면 완전히 끝날지 판단하는데 매우 중요.
■ 주식시장은 빅테크 어닝 쇼크에도 불구 지난 2주에 걸쳐 랠리.
- 윌슨은 이 같은 가격 움직임이 연준 긴축 사이클의 막바지에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진단.
- 향후 12개월 EPS 추정치가 보다 현저하게 후퇴할 때까지 랠리가 유지될 전망.
■ 골드만삭스
- 연준의 긴축 속도 조절 가능성과 가벼운 포지셔닝, 4분기 계절적 강세 기대가 최근 몇 주간 주식시장을 상승으로 이끌었다고 진단.
✅ 비둘기파적 연준 발표시 빅 랠리
■ JP모간체이스 트레이딩 데스크
- 연준이 수요일 정책결정 발표 시 비둘기파적으로 선회할 경우 빅 랠리 기대.
- 50bp 인상 단행하거나 파월 의장이 높은 인플레이션과 타이트한 고용시장을 어느 정도 용인하겠다는 신호를 보낼 경우 S&P 500 지수가 최소 10% 급등 전망.
- 가장 가능성 높은 시나리오.
■ 가장 가능성 높은 시나리오는 75bp 인상과 매파적 시그널.
- 채권시장이 이미 이를 가격에 반영.
- S&P 500 지수는 1% 하락에서 0.5% 상승에 그칠 것.
■ 두 번째 확률이 높은 시나리오로 75bp 인상과 비둘기파적 발언.
- 이 경우 S&P 500 지수는 2.5%~3% 오를 것.
✅ 빅오일 ‘횡재세’
■ 바이든 대통령, 기록적 이익을 창출한 에너지 기업들에게 더 높은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을 강구하겠다.
- 오일 업계는 미국에 투자하고 미국인들을 돕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 이들의 벌어들인 이익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횡재”였다고 비난.
- 초과 이익에 대해 더 높은 세금을 내고 다른 규제도 직면하게 될 것.
- 미 의회와 협력해 가능한 보복 조치를 찾겠다.
■ 11월 8일 중간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승부수를 띄운 셈.
■ 현재 상원이 팽팽히 나눠져 있어 해당 제안이 법으로 통과될 가능성은 낮아.
■ 이번 선거에서 민주당이 예상치 못한 완승을 거두지 않는 한 공화당과 민주당 중도파는 당분간 횡재세를 막을 것으로 예상.
✅ 러시아 위협에 밀 가격 급등
■ 러시아가 자국 함대에 대한 드론 공격을 이유로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 협정 불참 선언.
■ 이에 밀 선물 가격이 월요일 한때 7.7% 급등.
■ 옥수수와 대두유 역시 상승.
■ 러시아 측, 터키 및 유엔과 외교적 협상이 진행 중.
-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 항로를 운항하는 선박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고 경고.
✅ 일본 엔화 방어 비용
■ 일본 당국이 달러 대비 엔화의 급격한 추락에 맞서 10월에 6.3조 엔(424억 달러) 투입.
- 일본 재무성의 9월 29일부터 10월 27일까지 데이터.
■ 시장 추정치에 따르면 10월 21일로 의심되는 개입에 약 5.5조 엔(372억 달러)이 투입된 듯.
■ Itochu Research Institute의 Atsushi Takeda는
- 아직도 10조 엔 넘게 현금이 남아있다.
- 9월과 10월에 단행됐던 대규모 시장 개입이 추가 3-5차례 가능하다.
- 그러나 시장 개입이 GDP의 2%를 넘을 경우 미국으로부터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위험이 있다.
- 이를 감안할 경우 2조 엔 정도 여유가 있을 뿐.
- 하지만 연준의 긴축 행진이 끝나간다는 신호가 나올 경우 엔화는 부담을 덜 수 있을 것.
■ 7.5조 엔 정도를 예상했던 NLI Research Institute의 Tsuyoshi Ueno는
- 일본 당국의 스탠스가 자주 움직이기보다는 적절한 타이밍을 선택해 가장 큰 효과를 노리려는 것 같다.
'블룸버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1.08 오늘의 이슈: 美 선거 랠리, 흥국생명 상환 (0) | 2022.11.08 |
---|---|
22.11.07 오늘의 이슈: 미국채 고통, 달러 자금시장 (1) | 2022.11.07 |
2022-11-04 오늘의 이슈: 미국채 역전 극심, BOE 75bp 인상 (0) | 2022.11.04 |
2022-11-03 오늘의 이슈: 파월 날벼락, 악마의 거래 (0) | 2022.11.03 |
22.10.31 오늘의 이슈: 美·英 75bp 유력, 식량 위기 (0) | 2022.10.31 |
22.10.28 오늘의 이슈: ECB 마지막 75bp? BOJ 긴장 (0) | 2022.10.28 |
22.10.27 오늘의 이슈: 긴축 막바지? 메타마저 실망 (0) | 2022.10.27 |
22.10.26 오늘의 이슈: 美 수요 파괴 조짐? 中 혼란 수습 (0) | 2022.10.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