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룸버그

22.10.31 오늘의 이슈: 美·英 75bp 유력, 식량 위기

by 인베스팅1 2022. 10. 31.

✅ 2022-10-31 오늘의 이슈: 美·英 75bp 유력, 식량 위기

 

https://www.bloomberg.co.kr/blog/five-75bp-food-crisis/

 

오늘의 5가지 이슈: 美·英 75bp 유력, 식량 위기 - Bloomberg Professional Services - Korea

Bloomberg Professional Services connect decision makers to a dynamic network of information, people and ideas.

www.bloomberg.co.kr

 

 이번주 미국, 영국 75bp 금리 인상 유력.

 호주중앙은행, 25bp 전망.

- 다만, 50bp 가능성도 배제 못함.

 

 지난 금요일 뉴욕증시, 애플 +7% 급등하며 반등 주도.

 S&P 500 + 2.5%, 나스닥 100 +3.2% 상승.

 

 일주일 사이 빅테크주 시가총액 3700억 달러 가량 증발.

 연이은 어닝 쇼크에 풋옵션 증가.

 

 UBS글로벌자산운용의 최고투자책임자(CIO) Mark Haefele는,

 애널리스트들이 경제 펀더멘털 악화를 반영해 기업들의 수익 추정치 하향 중.

 때문에 결국 밸류에이션은 높아질 수 밖에 없다.

■ 즉, 주가 급락에도 저가매수 매력이 없다는 의미.

 

 폭스콘의 정저우 공장, 코로나 방역규제로 근로자들 이탈.

 생산 차질 우려 다시 빚어질 위험 발생.

■ 정저우 공장은 세계 최대 애플 아이폰 생산기지로 알려짐.

 

 러시아,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 협정 불참 선언.

 자국 함대에 대한 드론 공격 이유.

 

 괴한이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의 샌프란시스코 자택 침입, 그의 남편을 폭행하는 사건 발생.

 당시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은 워싱턴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짐.

 

 브라질 결선투표에선 개표율 90% 기준,

 좌파 룰라 전 대통령이 보우소나루 현 대통령을 50.5%대 49.5%로 앞서.

 박빙으로 끝날 시 선거 불복 등 정치불안이 불거질 수도.

 

 

 

 연준 5%까지 공격적 긴축

 블룸버그 설문 결과

- 이번주 FOMC에서 4연속 75bp 인상, 내년 3월까지 기준금리 5% 예상.

- 12월에는 50bp.

- 그 다음 2번은 25bp로 속도를 늦출 것으로 예상.

- 12월 75bp를 점친 전문가도 3분의 1에 육박.

- 해당 설문은 40명의 이코노미스트들을 대상으로 10월 21일-26일 실시됨.

 미국 9월 PCE 물가지수는 전년비 6.2%, 전월비 0.3% 상승.

- 여전히 강한 물가 압력을 나타냄.

-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CE 인플레이션 역시 전년비 5.1%, 전월비 0.5% 상승 기록.

- 실질 개인소비는 전월비 0.3% 증가해 시장 예상 상회.

- 고용비용지수는 3분기 1.2% 상승.

 ING Groep NV의 수석 글로벌 이코노미스트 James Knightley는,

-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히 높아 11월 75bp 인상 전망.

- 약해지는 경제와 시장 분위기를 감안할 때 12월에 50bp로 긴축 속도를 낮출 것.

- 다만, 5연속 75bp 인상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해.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 파월 연준의장, 피봇이 임박했다는 인상을 주고 싶어 하지 않을 것.

- 시장에 12월 50bp를 준비시키는 동시에 점도표로 최종금리 5%를 제시해 균형을 찾으려 할 것.

 골드만삭스 역시 전망을 바꿔 내년 3월 5%를 최종금리로 제시.

 

 

 연준 압박하는 정치권

 셰로드 브라운 상원 은행위원회 위원장

- 25일 제롬 파월 연준의장에게 보낸 서한을 통해

- 인플레이션 진정도 중요하지만 완전 고용을 추구해야 하는 책임을 잊어서는 안된다고 강조.

 존 히켄루퍼 민주당 상원의원

- 27일 서한을 통해 연준에게 금리 인상을 중지하라고 촉구.

- 연준이 너무 많이 너무 빨리 하고 있어 우려스럽다.

- 연준은 멈춰 서서 또 금리를 올릴 경우 부작용을 심각하게 고민해야만 한다.

 로렌스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

- 정치적 압박은 바보 게임.

- 연준이 중앙은행 독립성을 증명하기 위해 긴축 의지를 더 다짐할 수도 있다.

- 솔직히 연준은 이에 귀기울이지 않기 때문에 단기 금리나 연준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그러나 정치적 압박이 시장 참가자 사이에 질문을 제기해 장기금리를 끌어올리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 과도한 통화정책 긴축 우려에 대해, 오히려 인플레이션 통제 실패 시 더 심각한 금융불안정과 실업 발생할 수 있다.

 

 

 채권시장 요동

 예상보다 더 악화된 유럽 CPI 발표에 ECB의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기대가 약해지며 글로벌 채권시장 요동.

 프랑스와 독일, 이탈리아의 10월 잠정치 CPI는 각각 전년비 7.1%, 11.6%, 12.8%로 시장 예상치 상회.

 전일 유럽중앙은행(ECB)은 75bp 인상과 선제적 가이던스 문구 변경.

- 이에 머니마켓은 추가 긴축 베팅을 낮췄었음.

 시장의 내년 ECB 최종금리 전망치, 목요일 2.65%에서 금요일 2.9%로 조정.

 Amundi SA의 포트폴리오 매니저 Gregoire Pesques는

- 중앙은행들이 아직 인플레이션과의 전쟁에서 승리를 단정지을 수 없다.

- 시장 방향이 바뀌려면 변동성이 줄어들어야 한다.

 일부 ECB 위원들, 12월 정책회의에서 보다 강력한 액션을 원한다는 발언.

 Gediminas Simkus 리투아니아 중앙은행 총재

- ECB의 다음 움직임이 “상당해야” 한다.

 Peter Kazimir 슬로바키아 중앙은행 총재

- 물가를 잡으려면 경제를 제약하는 수준까지 금리를 올려야 한다.

 Klaas Knot 네덜란드 중앙은행 총재

- 12월 50bp나 75bp 인상 선호.

 한편, Francois Villeroy de Galhau 프랑스 중앙은행 총재

- 75bp 보폭을 유지해야 할 의무는 없다.

 독일과 프랑스, 이탈리아 10년물 국채 금리 모두 13bp 넘게 올랐다.

 미국채 10년물 역시 장중 한때 13bp 가까이 점프해 4% 위로 다시 올라섰다.

 

 

 영국 성장전략 버린다

 리시 수낵 영국 신임총리는 리즈 트러스의 성장 전략을 버리고 대신 지출을 줄이기로.

 Flint Global의 Tim Pitt는,

- 재정건전성 확보가 당장 시급.

- 명확하고 잘짜여진 성장 플랜이 필수적.

- 봄 예산에 포함시키는게 보다 합리적.

 금요일 소식통에 따르면 재무부는 증세와 지출 감축을 통해 최대 500억 파운드 규모를 마련할 방침. 

 

 

 내년 유가 120달러 전망

 파이오니어 내추럴 리소시즈의 최고경영자(CEO) 스콧 셰필드,

- 중국이 경제활동을 본격적으로 재개할 시 국제유가 내년 배럴당 120달러 갈 수 있다고 전망.

- 그는 또한 미국이 파이프라인이나 액화천연가스(LNG) 터미널과 같은 분야에 투자를 늘리지 않는다면 중국으로부터 추월당할 수 있다고 경고.

- 바이든 대통령의 공급을 늘려달라는 요청에 대해, 시추할 장소가 부족한 상태로 추가 생산을 하려면 2년이 걸린다고 셰필드는 설명.

- 또한, 바이든이 관련 업계는 물론 그들의 주주와 재무적 투자자들도 설득해야 한다고 주장.

 파이오니어는 미국 퍼미안 분지에서 셰일오일을 생산하는 대형 에너지업체 중 하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