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10.14 주요 이슈 정리
✅ 다우 +2.83%, S&P 500 +2.60%, 나스닥 +2.23%, 야간선물 +1.63%, 환율 1431원(-1원), 국제유가 +2.14%, 반도체 지수 +2.94%.
✅ 마켓워치, 9월 CPI가 월가의 예상을 웃돈 이유.
➡ 고공행진을 거듭하는 주택 임대료 등 주거비용이 미국의 9월 CPI가 월가의 예상치를 웃돈 원인 가운데 하나.
➡ 귀속임대료(OER: owners' equivalent rent) 등 주거비용 관련 지표가 1990년 이후 가장 가파른 상승세 보였다.
✅ CPI 충격에도 미 증시 랠리 한 이유 2가지.
➡ 낙폭 과대에 따른 반발 매수.
- S&P 500은 전일까지 6거래일 연속 하락.
- 이는 2020년 2월 이후 가장 긴 연속 손실.
- 이에 따라 그동안의 낙폭 과대에 따른 반발 매수가 유입된 것으로 보임.
➡ 어쨌든 인플레이션 정점.
- 투자자들은 예상보다 강력한 인플레이션 지표가 물가 상승이 정점에 도달했다고 해석한 것으로 보임.
➡ 찰스 슈왑의 수석 투자 전략가인 리즈 앤 손더스는,
- 인플레이션이 마지막 숨을 거두고 여기서부터 둔화되기 시작할 것이란 기대로 투자자들이 대거 매수에 나선 것.
✅ 미국 증시
➡ 예상치를 상회한 CPI 발표에도 상승.
- 개장 전 발표된 CPI가 예상치를 상회하며 주요 지수 장초 급락.
- 달러 강세 및 국채 금리 상승하는 흐름을 보였으나 시가를 저가로 하여 주요 지수는 장중 상승 흐름을 보이며 큰 폭의 상승 마감.
- 향후 물가 하락 압력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 부각.
- 영국 정부의 감세안 추가 변경 기대로 파운드화 급등.
➡ 9월 CPI는 8.2% YoY, 0.4% MoM으로 컨센(8.1% YoY, 0.2% MoM) 상회.
- 전월(8.3% YoY, 0.1% MoM)비 YoY는 소폭 둔화, MoM은 상승 폭 확대.
- Core CPI는 6.6% YoY, 0.6% MoM으로 컨센서스(6.5% YoY, 0.5% MoM) 상회.
- 주요 항목을 살펴보면,
- 가솔린 가격은 지속적인 하락을 보이며 전월 대비 -4.7%, 에너지 전체로 -2.1%.
- 중고차도 전월 대비 -0.1%에서 -1.1%로 하락폭 확대.
- 신차가격은 +0.7% 상승.
- 주거비용도 전월 대비 +0.7% 상승.
- 의료서비스가 +1.0% 상승.
- 식품이 +0.8% 상승.
- 연준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 기조 확대 가능성에 달러 강세, 2년 물 국채금리 4.5% 상회, 나스닥 - 3% 등 장 초반 변동성 확대.
➡ 영국의 감세안 일부 철회 가능성 부각.
- 트러스 내각 고위직들이 감세안 일부 철회를 주요 안건으로 긴급회의를 가진다는 소식.
- 다만 아직 최종 결정사항은 없음.
- 이에 따라 파운드/달러는 1.1332(+2.1%) 상승했고, CPI 발표 후 114pt에 근접했던 달러인덱스는 112.4pt로 하락.
- 영국 길트채 금리도 하락하는 등 영국발 금융시장 불안 완화.
- 이 소식에 달러화가 약세로 전환, 미국 증시 상승폭 확대.
➡ 국채금리는 미국 9월 CPI가 전월비, 전년비로 예상치를 상회하며 단기물 중심으로 상승.
- 미 국채 10년 물은 다시 4%대로 장중 고점을 높이며 인플레이션과 긴축 정책에 대한 경계심 반영.
- 10Y를 중심으로 CPI 발표 후 고점 대비 하향 안정 흐름.
- 영국정부의 감세안 추가 변경 기대 부각에 상승분 일부 축소.
- CPI 발표 후 FedWatch상 11월 75bp 인상 가능성 96.3%, 12월 75bp 인상 가능성 71.5% 기록.
- 100bp 3.4% 기록.
- 10년 -2년 국채금리 역전폭 크게 확대.
- 10Y 3.94%(+4.7bp), 2Y 4.46%(+17.2bp)로 상승.
- 실질금리, 기대인플레이션 동반 상승.
➡ 달러화는 9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에 강세 출발, 영국 정부의 감세안 추가 변경 가능성 부각에 약세 전환.
➡ 국제유가 원유재고가 증가했다는 소식에도 디젤 재고가 감소하고 달러화 가치가 하락세로 전환된 영향으로 3거래일 만에 상승.
- 러시아가 흑해를 통한 우크라이나 곡물 출하 허용을 갱신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하는 등 우크라이나 사태 확대도 상승 요인 중 하나.
- 구리 및 비철금속은 달러화 약세 전환에 상승.
- 옥수수와 밀은 러시아의 흑해를 통한 곡물 출하 허용을 갱신하지 않을 것이라는 소식에 상승.
- 대두는 보합권 등락.
✅ 중국 증시
➡ 16일 당대회를 앞두고 혼조세.
- 당대회를 앞두고 중국 당국은 코로나 방역 조치를 더욱 강화하면서 투자심리 위축.
- 미국 9월 CPI 발표를 하루 앞둔 점도 부정적인 영향.
- 건강관리업종 상승했고, 에너지와 부동산업종 하락.
- 역외 위안화 환율은 7.2위안 육박.
✅ 한국 증시
➡ 코스피 2162.87 (-39.60) -1.80% (외국인 +1930억, 기관 -2999억)
- 코스닥 651.59 (-20.08) -2.99% (외국인 -414억, 기관 -48억)
- 원달러환율 1431.30 (+6.40) +0.45%
➡ 옵션만기일인 가운데 미 9월 CPI 발표를 앞둔 경계감 속 외인 대규모 선물 매도세에 하락.
- 코스닥은 전 저점을 하회하며 낙폭 확대하며 마감.
- 영국의 국채 매입 관련 불확실성 확산.
- 중국이 당 대회를 앞두고 제로코로나 정책을 고수하며 경기둔화 우려 지속.
- SK하이닉스, 기아, POSCO홀딩스, 셀트리온 등 몇몇 주요 종목이 상대적 강세를 보이기도 하였지만 거의 대부분의 종목이 하락.
- 신라젠이 거래재개에 성공하며 상한가.
➡ 오늘 시장 특징주
- 바이오로그디바이스, 셀바시온 코빅실 중남미 판매 승인 소식에 투자사 부각되며 상한가.
- 프로이천, 전기차 자율주행 디스플레이 대형화 수혜 보도에 상한가.
- 바이젠셀,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치료 목적 사용승인 보도에 급등.
- 코오롱, 코오롱티슈진 상폐 여부 결정.
- 셀피글로벌, 키오스크코리아 지분 인수 소식.
- 금양, 리튬 매장된 콩고 광산 개발 보도.
- 펄어비스, 신작 출시 연기 소식에 급락.
'시장관련 > 해외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0.24 해외 시황 (0) | 2022.10.24 |
---|---|
22.10.21 해외 시황 (0) | 2022.10.21 |
22.10.20 해외 시황 (0) | 2022.10.20 |
22.10.19 해외 시황 (0) | 2022.10.19 |
22.10.13 해외 시황 (0) | 2022.10.13 |
22.10.12 해외 시황 (0) | 2022.10.12 |
22.10.11 해외 시황 (0) | 2022.10.11 |
22.10.07 해외 시황 (3) | 2022.10.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