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장관련/해외 시황

22.10.13 해외 시황

by 인베스팅1 2022. 10. 13.

 22.10.13 주요 이슈 정리

 

✅ 다우 -0.10%, S&P 500 -0.33%, 나스닥 -0.09%, 야간선물 -0.49%, 환율 1425원(-1원), 국제유가 -2.53%, 반도체 지수 -0.90%.

 

 FOMC 9월 의사록

 9월부터 재무부 증권과 모기지 증권 상환 상한선이 2배로 증가함에 따라 향후 몇 달 동안 대차대조표 축소 속도가 빨라질 것.

 세계 경제의 성장 둔화로 인해 아시아의 수출 지향적인 신흥국들의 경제에 부담.

 2022년 PCE는 5.1%, Core CPI는 4.3%.

 Core CPI는 2025년에 2.1%가 될 것으로 예상.

 PCE는 2023년 2.6%, 2024년과 2025년에 2%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

 인플레 수용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

 인플레 예상보다 천천히 하락.

 인플레 압력 향후 몇 년간 점차 줄어들 것.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은 잘 고정돼 있어.

 실질 GDP 성장에 광범위한 하방리스크.

 더 제약적인 정책 기조로 움직인 후 유지해야.

 금리 인상 속도와 범위, 경제 및 인플레 전망에 좌우.

 몇몇 위원들, 경제전망 역효과 완화 위해 속도 조절 중요.

 어느 시점에 정책영향 평가하며 금리 인상 속도 늦춰야.

 금리, 제약적 수준 도달 시 한동안 그 수준 유지 적절.

 대차대조표 축소, 최대 규모로 지속될 것.

 실질 GDP 성장률, 추세 아래로 하락 가능성 매우 높아.

 제약적 정책, 인플레 관련 경제적 고통 예방할 것.

 다수 위원들, 인플레에 작게 조치하는 비용이 더 커.

 두 위원들, 역사적으로 긴축정책 기간 조기 종료 위험 강조.

 몇몇 위원들, 필요한 만큼 제약적 입장 유지 필요.

 9월, 75bp 금리 인상 투표는 만장일치.

 

 바이든 행정부,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무차별적 미사일 공격에 대응해 러시아산 알루미늄에 대한 제재를 검토 중.

 

 EU 27개 회원국 에너지 장관들은 공급 안정 확보를 위해 내년 여름쯤부터 가스 공동구매에 나서기로 합의함.

 

 OPEC, 전 세계 원유 수요·성장률 전망치 하향.

 OPEC은 올해 원유 수요가 하루 264만 배럴 증가하고, 내년 하루 234만 배럴 증가할 것으로 예상.

 이는 지난 9월 보고서 발표 당시보다 올해는 하루 46만 배럴, 내년은 하루 36만 배럴 낮춘 것.

 OPEC은 인플레이션과 금리 상승, 지정학적 긴장을 고려해 이같이 조정한다고 설명.

 

 러시아에서 유럽으로 향하는 드루즈바 송유관에서 누출이 감지됨.

 폴란드 운영사 Pern은 11일 저녁 폴란드 중부 도시 프워츠크에서 약 70㎞ 떨어진 서쪽 구간 2개 라인 중 한 곳에서 감압 현상이 발생했다며 자동 감지 시스템이 누출을 감지했다고 밝힘.

 이 구간을 통해 독일로 석유가 공급되며, 누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음.

 

 낸드 현물 가격 -4.4% 하락.

 

 미국의 주요 반도체 장비 업체들이 중국 반도체 생산기업에 대한 지원 중단에 나섬.

 KLA와 램리서치는 중국의 국영 반도체 생산 업체인 양쯔메모리 테크놀로지(YMTC)에 파견했던 기술자와 직원들을 철수하고 있음.

 

 

✅ 미국 증시

 예상보다 높았던 PPI와 다소 완화적인 FOMC 의사록이 공개됐음에도 시장은 뚜렷한 방향성이 없이 미 9월 CPI 결과를 기다리는 관망세가 드리워진 소폭 하락 마감.

- FOMC 의사록 공개를 통해 일부 연준 위원들이 경제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긴축정책 속도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주장한 점이 알려진 이후 달러화가 약세로 전환.

-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 앞두고 재차 달러화 강세로 전환되자 매물 출회, 소폭 하락 마감.

 9월 PPI는 8.5% YoY, 0.4% MoM으로, 컨센서스(8.4% YoY, 0.2% MoM) 상회 및 MoM 기준 전월치(-0.2%) 상회.

- 9월 근원 PPI는 7.2% YoY, 0.3% MoM으로, MoM 기준 컨센서스(0.3%)에 부합 및 전월(0.3%)과 유사.

- 식품 가격이 8월 하락과 달리 +1.2% 상승(yoy +11.9%) 한 영향에 상승.

- 난방유 가격이 +10.7%(yoy +73.2%) 급등한 점도 물가 상승 요인.

- 가솔린 가격은 2.0%(yoy +18.1%) 하락.

 OPEC에서 수요 전망을 하향.

- 올해 글로벌 원유 수요를 +234만 bpd(이 전 전망 +310만 bpd), 내년 +234만 bpd 증가(이전 전망은 +270만 bpd) 전망.

 9월 FOMC 의사록이 전반적으로 긴축적이었으나 일부 완화적인 의견 확인.

- 높은 인플레이션의 하락이 예상보다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고 평가.

- 인플레이션 둔화 신호가 나올 때까지 금리를 높은 수준으로 한동안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

- 다만 일부는 경기 전망에 대한 긴축의 심각한 악영향을 고려하여 긴축 속도를 미세 조정할 필요가 있다 발언.

 국채금리는 중장기물 중심으로 하락.

- 9월 FOMC 의사록은 연준의 확고한 물가 안정 의지를 재확인한 동시에 조기 정책 전환 가능성이 없다는 것을 시사.

- 다만, 경제 여건에 대한 불확실성을 우려하며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

- 일부 연준 위원들의 정책 변화 가능성 언급에 상승폭 제한, 하락 전환.

- 11월 75bp 인상 가능성 82%, 50bp 인상 가능성 18%.

- 기대인플레이션 하락.

- 10년-2년 금리차 역전폭 확대.

 달러화는 미국 PPI가 예상치를 웃도는 등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달러 인덱스 기준으로 강세 흐름 지속.

 국제유가는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OPEC이 글로벌 원유 수요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하락.

- 구리 및 비철금속은 미국의 러시아산 알루미늄 수입 금지 조치 소식에 상승, 경기 침체 이슈로 구리 가격은 하락.

- 옥수수와 대두는 수확량 감소 소식에 상승. 밀은 하락.

 

 

✅ 중국 증시

 반도체 업종 반등에 힘입어 상승.

- 주가는 장 초반 약세로 출발했으나 오후 들어 상승 반전.

- 반도체 업종이 반등 주도.

 전날 7.2위안을 한때 돌파했던 역외 달러-위안 환율은 보합세.

 

 

✅ 한국 증시

 코스피 2202.47 (+10.40) +0.47% (외국인 +2387억, 기관 -1052억)

- 코스닥 671.67 (+2.17) +0.32% (외국인 -824억, 기관 +643억)

- 원달러환율 1424.90 (-10.30) -0.72%

 미 9월 CPI 발표를 앞둔 경계감 속 반도체, 경기민감주 주요 종목 강세에 힘입어 상승.

- 코스닥 전일 낙폭에 따른 반발 매수세 유입되며 소폭 상승.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50bp 금리 인상을 단행하며 기준금리 3% 시대에 돌입했고 올해 최종 금리 3.5% 수준으로 제시.

- 장중 미국의 삼성 SK 중국 공장 반도체 장비 수출 통제 1년 유예 소식이 있었고 SK하이닉스 상승 마감 지수 견인.

- 금융당국 증안펀드 등 증시 안정화 대책 논의.

- 미국-러시아 정상회의 가능성 보도.

 시장 특징주

- 알톤스포츠, 전기자전거 폐배터리 사업 진출 보도에 상한가

- 넥센타이어, 물류비 정상화 수혜 기대 부각에 상승

- 나이벡, 유럽 임플란트 박람회서 수주 소식

- 제이씨케미칼, 산업부 친환경 석유 대체연료 확대 방안 발표 계획

- 카나리아바이오, 오레고보맙 파트너십 논의 보도

- 엠투엔, 신라젠 거래재개 기대

- 넷마블, 3분기 영업손실 지속 전망에 하락

- LG생활건강, 3분기 중국 화장품 실적 부진 전망에 하락

 

'시장관련 > 해외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0.21 해외 시황  (0) 2022.10.21
22.10.20 해외 시황  (0) 2022.10.20
22.10.19 해외 시황  (0) 2022.10.19
22.10.14 해외 시황  (0) 2022.10.14
22.10.12 해외 시황  (0) 2022.10.12
22.10.11 해외 시황  (0) 2022.10.11
22.10.07 해외 시황  (3) 2022.10.07
22.10.06 해외 시황  (0) 2022.10.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