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10.06 주요 이슈 정리
✅ 다우 -0.14%, S&P 500 -0.2%, 나스닥 -0.25%, 야간선물 +0.02%, 환율 1415원(+5원), 반도체 지수 +0.94%, 국제유가 +1.68%.
✅ 미국의 30년 모기지 금리가 6.75%를 기록함.
✅ 미 재무부가 미국의 국가 부채가 사상 처음으로 31조 달러(약 4경 4,000조 원)를 넘어섰다고 밝힘.
✅ WTO, 내년 무역 성장률 3.4%에서 1%로 하향.
➡ 에너지난과 금리 인상으로 인해 내년 글로벌 교역이 급격히 위축될 것이라고 경고.
➡ 경기 침체 가능성에 무게를 실어.
➡ 세계 경제를 짓누르는 여러 충격 요인들로 인해 올 하반기와 내년 글로벌 교역 성장이 이전 예상보다 더뎌질 것.
✅ OPEC + 가 11월부터 하루 원유 생산량을 200만 배럴 줄이기로 합의했다고 밝힘.
➡ OPEC+는 경기 침체 우려 등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감산량을 결정했다고 설명.
✅ 골드만삭스, 4분기 유가 배럴당 110 달러 전망.
✅ 환율 방어에 9월 외화보유액 197억 달러 줄어.
➡ 지난 9월 우리나라의 외화보유액이 196억 달러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10월 274억 2천만 달러 감소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큰 감소폭.
➡ 9월 한 달 동안 달러/원이 100원 넘게 오르면서 외환당국이 대규모 달러 매도를 감행한 것으로 풀이.
➡ 오금화 한국은행 국제국장은
- 외화보유액 감소는 외환시장 변동성 완화 조치와 기타 통화 외화자산의 미 달러화 환산액 감소, 금융기관 외화 예수금 감소에 기인했다고 설명.
- 순대외금융자산 보유국인 점, 낮은 단기외채 비율 등을 고려하면 대외 충격에 대한 완충작용을 하기에 충분한 수준.
- 지난달 말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도 한국의 외화보유액이 동일 신용 등급 국가에 비해 건실한 수준으로 평가.
- 외화보유액이 감소하더라도 외환시장의 쏠림 현상이 발생할 경우 변동성 완화 조치는 분명히 할 것.
✅ 미국 증시
➡ 고용지표 호조, 유가상승에 소폭 하락.
- 개장 전 발표된 민간고용지표 호조, OPEC+의 200만 bpd 감산 등으로 국채 금리 3일 만에 상승 전환 및 달러 강세에 장초 약세를 보이던 증시는 상승 전환하는 등의 모습을 보이며 낙폭을 크게 축소시켜 약보합 권에서 마감.
- 연준의 긴축 속도 조절에 대한 기대감이 과잉 반영된 전날 급등의 부담으로 미국 주요 지수 모두 하락 시작.
- 그러나 장 마감까지 모든 하락폭을 전부 만회하며 한때 플러스 전환, 주요 지수 모두 소폭 마이너스로 마감.
- 반등은 애플, MS, 알파벳, 아마존 등 빅테크가 주도.
- 테슬라는 트위터 인수로 일론 머스크의 추가 주식 매도 가능성 부각에 하락.
➡ ADP 9월 민간고용은 20.8만 명으로, 컨센 20만을 상회.
- 상향 조정된 8월 수치(13.2만 → 18.5만) 대비로도 상승.
- 그러나 3개월 평균은 19만 6천 건으로 21년 2월 이후 가장 낮은 증가세를 기록.
- 서비스 부문이 23.7만 명 증가, 서비스 부문이 일자리 증가 주도.
- 제조업과 정보통신, 금융 등 감소.
- 이직자들의 임금은 전년 대비 16.2%에서 15.7%로 하향 조정돼 3년 내 최대 폭 둔화.
➡ ISM 서비스업 지수는 전월대비 소폭 하회, 예상치는 상회한 56.7로 발표.
- 신규주문이 61.8에서 60.6, 가격지수도 71.5에서 68.7로 둔화.
- 고용지수는 50.2에서 53.0으로 개선.
- 제조업 지수에 이어 서비스업 지수의 신규주문 둔화를 감안하면, 향후 경기둔화 가능성 높음.
➡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는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한 금리 추가 인상을 지지하고 있으며, 내년 금리 인하와 같은 연준의 방향성 변화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일축.
- 연준이 4.0%~4.5%에서 금리 인상을 멈추는 시점에서 국채금리의 상단 및 증시 바닥 나올 것이고, 이후 본격적인 반등을 모색하기 시작할 것으로 판단.
➡ OPEC+가 하루 200만 배럴 감산에 합의함.
- 이는 시장이 전망했던 100만 배럴 감산을 크게 상회.
- 특히 사우디와 러시아가 감산에 적극적 주장.
➡ 국채금리는 민간 고용 수치가 탄탄한 모습을 보이면서 오름세를 보여.
- RBNZ이 5회 연속 기준 금리를 50bp 인상하는 등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하다는 점.
- 여전히 금리 인상 스탠스 유지에 무게를 싣고 있는 연준 당국자 발언 등도 상승에 일조.
- OPEC+ 감산 결정으로 높은 인플레이션 장기화 가능성이 부각된 점도 상승 요인.
- 연준의 11월 75bp 인상 가능성은 70.2%를, 50bp 인상 가능성은 29.8%를 기록.
- 실질금리는 큰 폭 상승, 기대인플레이션은 소폭 하락.
- 미 국채금리는 2Y 4.15%(+5.6bp), 10Y 3.75%(+12.0bp)로 재차 상승, 10년-2년 금리차 역전폭 축소.
➡ 달러화는 견고한 고용지표 결과와 최근 약세에 대한 되돌림 유입으로 강세.
- OPEC+가 감산에 합의했다는 소식도 안전 통화인 달러화 강세를 뒷받침.
- 유로화와 파운드화는 달러 대비 약세.
➡ 국제유가는 OPEC+ 회의에서 시장이 예상한 규모의 상단인 하루 200만 배럴 감산에 합의했다는 내용이 발표되고, 미국의 원유재고가 감소했다는 소식에 상승.
- 감산 기대가 이미 유가에 며칠간 반영.
- 산유국들이 생산 쿼터를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보여 실제 감산 규모는 이보다 적을 것이라는 분석.
- 미국의 전략 비축유 방출 발표, 미국의 공급 증가 언급이 상승 제한.
- 구리 및 비철금속은 국제 유가상승에 상승.
✅ 한국 증시
➡ 코스피 2215.22 (+5.84) +0.26% (외국인 +776억, 기관 -5511억)
- 코스닥 685.34 (-11.45) -1.64% (외국인 -2671억, 기관 -562억)
- 원달러환율 1410.10 (-16.40) -1.15%
➡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 상승에 힘입어 소폭 상승.
- 장초 미 구인이직보고서 고용 둔화에 따른 연준 긴축 완화 기대 심리로 상승했으나 OPEC+ 회의를 앞두고 감산 가능성에 따른 유가상승에 인플레이션 경계감 재부각에 하락 전환하기도 하며 소폭 상승으로 마감.
- SK하이닉스는 마이크로 설비투자 감축, 키옥시아 감산 영향, LG에너지솔루션은 증권가 긍정적 분석에 강세를 보이며 지수를 견인.
- 유가상승에 따른 경기민감주의 산발적 상승.
- 코스닥은 외인, 기관 동반 매도세로 하락.
➡ 오늘 시장 특징주
- 프롬바이오, 탈모 치료 모낭 기반기술 특허 부각되며 상한가.
- 알티캐스트, 전기차 충전 업체 차지인 지분 보유 부각에 상한가.
- 아프리카TV, 트위치 사업 축소 수혜 기대.
- 카나리아바이오, 300억 제3자유상증자 소식.
- 신화콘텍, 유럽 스마트폰 충전 USB-C 통일 의무화.
- 한화솔루션, 3분기 시장 기대치 상회 증권가 전망.
'시장관련 > 해외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0.13 해외 시황 (0) | 2022.10.13 |
---|---|
22.10.12 해외 시황 (0) | 2022.10.12 |
22.10.11 해외 시황 (0) | 2022.10.11 |
22.10.07 해외 시황 (3) | 2022.10.07 |
22.10.05 해외 시황 (0) | 2022.10.05 |
22.10.04 해외 시황 (1) | 2022.10.04 |
22.09.30 해외 시황 (1) | 2022.09.30 |
22.09.29 해외 시황 (0) | 2022.09.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