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09.19 해외 시황
✅ 다우 -0.45%, S&P 500 -0.72%, 나스닥 -0.9%, 야간선물 +0.24%, 환율 1384원(-4원), 반도체 지수 +0.53%, 국제유가 +0.00%.
✅ 윤석열 대통령이 바이든 대통령과 통화스왑을 논의할 것으로 전해짐.
✅ 이번주 FOMC가 75bp 인상으로 기울었다고 블룸버그가 보도함.
✅ 미국 증시
➡ 페덱스 가이던스 쇼크에 하락.
- 페덱스(-21.4%)가 가이던스 쇼크에 급락하며 경기둔화 우려가 부각되고 FOMC를 앞둔 경계감에 하락.
- 미시간대 기대 인플레 둔화, 반도체 업종 상승으로 다소 낙폭을 축소.
- 일부 경제지표의 호전에도 불구 매파적인 연준과 그에 따른 성장 둔화에 물류, 항공, 여행, 에너지 업종 중심으로 하락.
- 장 마감 앞두고 선물옵션 만기일 수급 영향에 힘입어 대형주 중심으로 낙폭이 축소.
- 전문가들은 페덱스의 부진 소식 관련 연쇄적 실적 부진 선언 가능성 우려가 투자심리를 악화시켰다고 평가.
- 최근의 고물가 지속 관련 연준 긴축과 경기 침체 우려를 둘러싼 불확실성은 시간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평가.
- 중국 당국, 반도체 산업 관련 고위직 관료들을 기율, 법률 위반 혐의로 조사 중이라 밝힘.
➡ 연준을 비롯한 각국 중앙은행들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으로 경기둔화 이슈 유입.
- 세계은행은 보고서를 통해 각국의 금리 인상으로 2023년 글로벌 경기 침체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발표.
- IMF도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을 하향 조정, 우려를 확대.
➡ 페덱스, 글로벌 경기둔화와 물동량 감소 속 비용 절감 계획 및 가이던스 철회로 -21.4% 하락.
- 글로벌 및 미국의 거시경제 추세가 분기 후반에 크게 악화되면서 글로벌 물동량이 감소했다고 경고.
- 경기둔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언급.
- 대표적 물류 회사인 페덱스의 경고는 최근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경기 침체 이슈를 확대시키면서 투자심리 위축시킴.
➡ 소비심리 지수 개선 및 기대 인플레이션 하향 안정.
- 미국의 9월 소비심리 지수는 58.2에서 59.5로 개선.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4.8%에서 4.6%로 하향, 1년 내 최저치 기록.
- 5년 기대 인플레이션도 2.9%에서 2.8%로 하향 안정.
➡ 국채금리는 9월 FOMC를 앞두고 경제 지표를 확인하는 가운데 기대 인플레이션 하락으로 혼조세.
- 2년 물 수익률은 장중 3.93%까지 고점을 높여 2007년 이후 최고치를 또 경신.
- Fedwatch 상 9월 FOMC 75bp 인상 확률은 85%, 100bp 인상 확률은 15%로 집계됨. CPI 발표되면서 100bp 인상 확률이 31%로 가장 높게 집계되었던 지난 13일 대비 100bp 인상 확률은 절반 수준으로 하락.
- 장단기 금리 역전폭은 소폭 감소, 실질금리 상승, 기대인플레이션 하락.
➡ 달러화는 미시간대 기대 인플레이션이 한풀 꺾인 것으로 나타나면서 혼조.
- 파운드화는 37년 만에 최저치 기록.
- 유로화는 달러 대비 강세, 유로화는 달러화에 대해 1대 1의 등가로 교환되는 패리티(parity) 환율 회복.
- 역외 위안화는 달러 대비 강세를 보이며 7위안 이하로 하락.
- 원화는 금요일 정부 당국의 환율 개입 영향에 키 맞추기 하는 모습.
➡ 국제유가는 이라크항 원유 유출 문제에 따른 공급 차질 우려 속 경기둔화 우려가 맞물리며 강보합 마감.
- 천연가스는 철도 파업 중단 및 석탄 운송 재개 소식에 이틀 연속 급락.
✅ 중국 증시
➡ 경제 지표의 호조에도 위안화 약세가 심화하면서 크게 하락.
- 중국 위안화는 심리적 마지노선인 달러당 7위안 선이 무너지는 '포치(破七)' 현상이 나타남.
✅ 한국 증시
➡ 코스피 2382.78 (-19.05) -0.79% (외국인 -464억, 기관 -4081억)
- 코스닥 770.04 (-11.34) -1.45% (외국인 -918억, 기관 -427억)
➡ 다음 주 FOMC를 앞두고 연준의 고강도 긴축에 대한 우려 지속에 하락.
- 장중 중국 8월 생산, 소비, 투자 지표가 견조하게 발표되었으나 위안화 지속 약세로 투자심리 회복에 제한.
- 장 막판 한미 통화스와프 논의 가능성에 원달러환율 하락하며 원화 약세는 다소 완화.
- 코스닥 또한 연준의 고강도 긴축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며 하락.
- 외인, 기관 동반 매도세.
- 에스엠이 라이크 기획 계약 조기종료 소식에 급등하며 엔터업종 강세.
➡ 오늘 시장 특징주
- 인탑스, 대기업 서비스 로봇 산업 진출 시 수혜 기대.
- 하이스틸, 포스코 태풍 피해에 철강가격 상승 반사익 기대.
- 클리오, 방역당국 실내 마스크 해제 발표 기대.
- 에이블씨엔씨, 최대주주 지분 매각 보도.
- 이아이디, 메타버스 관련 기업 래빗워크 지분 인수 소식.
- 국순당, 정부 막걸리 전통주 편입 가능성 보도.
- 참좋은여행, 모두투어를 제치고 업계 2위로 올라섰다는 소식.
- 삼일기업공사, 511억 규모 신축공사 수주.
https://link.coupang.com/a/CuQTG
트레비 라임 ECO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시장관련 > 해외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9.23 해외 시황 (1) | 2022.09.23 |
---|---|
22.09.22 해외 시황 (1) | 2022.09.22 |
22.09.21 해외 시황 (0) | 2022.09.21 |
22.09.20 해외 시황 (1) | 2022.09.20 |
22.09.16 해외 시황 (1) | 2022.09.16 |
22.09.15 해외 시황 (0) | 2022.09.15 |
22.09.14 해외 시황 (0) | 2022.09.14 |
22.09.08 해외 시황 (0) | 2022.09.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