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11-16 오늘의 이슈 : 달러 매도 유행, 동유럽·中 피봇
https://www.bloomberg.co.kr/blog/five-dollar-selling-poland/
오늘의 5가지 이슈: 달러매도 유행, 동유럽·中피봇 - Bloomberg Professional Services - Korea
Bloomberg Professional Services connect decision makers to a dynamic network of information, people and ideas.
www.bloomberg.co.kr
✅ 미국 10월 생산자 물가(PPI) 상승률이 전년비 8%로 시장 예상치 8.3% 하회.
■ 근원 PPI 상승률은 전월비 0%.
■ 이에 따라 뉴욕 증시는 테크주를 중심으로 랠리.
✅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 통화정책이 충분히 제약적 수준에 접근.
■ 연준 위원들이 긴축 속도를 늦출 것으로 예상한다.
✅ 마이클 바 금융 감독 담당 연준 부의장
■ 인플레이션이 너무 높아 미국 경제가 상당한 약화를 보일 것.
✅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
■ 인플레이션 둔화 조짐에 희망이 보인다.
■ 보다 광범위한 물가 안정을 확인해야 한다.
✅ 한편 크레디트스위스는
■ 구조조정 일환으로 증권화 상품 그룹(SPG) 상당 부분을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에 매각.
■ 구체적 내용이 부족해 주가가 장중 최대 -2.4% 하락.
✅ 옐런 미 재무장관
■ 일론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와 관련해 조사를 개시해야 할 근거가 없다.
✅ 윤석열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주석 15일 정상회담.
■ 북한이 호응할 경우 한국의 ‘담대한 구상’이 잘 이행되도록 적극 지지, 협력.
✅ 달러 매도 유행
■ 블룸버그 달러지수(BBDXY)가 3개 월래 저점으로 밀렸다.
■ 금리 인상 속도 조절할 것이란 베팅이 본격화되면서 BBDXY는 이달 들어 거의 -5% 급락.
■ SPI Asset Management의 Stephen Innes는
- 중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에서 보다 진보적으로 바뀌었다.
- 연준 긴축과 미국 경착륙에 대한 두려움이 잦아들었다.
■ 노무라는
- 향후 미국 근원 인플레 하락과 중국 리오프닝을 감안, 달러의 방향 전환 전망.
■ Bank of New Zealand의 Jason Wong은
- 포지셔닝이 워낙 롱쪽으로 기울어져 있어 달러가 상당히 취약해 보인다.
- 길게 보면 하방 리스크가 크다.
✅ 시진핑의 3대 피봇
■ 타격이 심한 부동산 분야를 구제하기 위한 계획 발표.
■ ‘제로코로나’ 정책의 잠재적 출구 제시.
■ G20 정상 회의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관계 개선 모색.
■ Union Bancaire Privee의 Vey-Sern Ling은
- 중국이 코비드 제로, 부동산 침체, 미국과의 관계 등 주요 우려 사항을 빠르게 처리하고 있는 듯 보인다.
■ Global X의 Dillon Jaghory는
- 바이든-시진핑 정상회담에서 극적인 돌파구는 없었다.
- 다만 일부 진전이 중국 증시에 긍정적.
- 특히 미-중 규제당국 간의 커뮤니케이션 채널은 중국 ADR 상장 폐지 리스크를 줄이는데 필수적.
■ 맥쿼리그룹은
- 10월 경제지표 부진에 정책당국이 연말에 보다 완화적 대책을 내놓을 수 있다.
- 올해 성장률 목표는 실현하지 못하더라도 내년엔 5%를 넘는 잠재성장률 수준으로 되돌아가길 원할 것.
✅ 러시아 추정 미사일 폴란드 낙하
■ 러시아에서 발사한 것으로 추정되는 미사일 2발이 NATO 회원국인 폴란드 영토에 떨어져 2명이 숨졌다고 AP 통신이 익명의 미국 정보당국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
■ 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 폴란드 총리는
- 긴급 국가 안보위원회를 소집.
■ Jacek Siewiera 폴란드 국가안보국장은
- '자국의 영토 보전과 안보에 위협을 받는 나라는 전체회의를 소집할 수 있다’고 명시된 NATO 조약 4항을 공식 발동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 러시아 국방부
- 해당 보도는 의도적 도발이라고 주장.
- 러시아군이 폴란드 국경 근처의 목표물을 향해 미사일 공격을 겨냥했다는 추측 부인.
✅ 연준 최종 금리 5%
■ 이코노미스트들, 3월까지 기준금리를 5%로 올리고 내년 대부분 기간 동안 그 수준을 유지할 것이란 예측 고수.
■ 블룸버그가 11월 4~11일에 65명의 이코노미스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 연준은 다음 몇 차례 회의에 걸쳐 추가로 100bp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전망.
- 연준이 선호하는 PCE 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내년 각 분기마다 높아졌지만 물가 압력은 빠르게 식을 것으로 전망.
- 4분기의 경우 경제활동 부진과 금리 상승 영향으로 중앙값 기준 평균 2.8% 예상.
- 설문 답변 중 절반 정도는 10월 CPI 지표가 나오기 전에 집계됐다.
■ ING Groep의 James Knightley는
- 연준이 경제적 비용에 상관없이 인플레이션을 물리치는데 전념하고 있다.
- 최종 금리를 5%로 보지만 인플레이션이 내년 가파르게 떨어지고 경기 침체가 심해질 수 있어 2023년에 정책 기조가 뒤바뀔 가능성이 높다.
✅ 흑해 곡물 거래
■ 러시아가 흑해에서 우크라이나산 곡물 및 기타 농산물을 수출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것으로 알려져.
- 러시아가 11월 19일 시한이 만료되는 흑해 곡물 거래 협정을 갱신할 가능성이 있다.
- 다만 그 대가로 새로운 조건을 추가할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 이스탄불에서 해당 협정을 총괄하는 합동 기구의 대변인,
- 현 단계에서 확인하거나 발표할 내용이 없다.
- “머지않아” 러시아 측 결정을 공개할 계획.
■ 해당 협정은 관련 국가 중 이를 철회하거나 수정하지 않는 한 자동으로 120일 연장된다.
■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 유엔 측에서 러시아의 조건을 충족시켜주겠다는 약속을 했다.
- 우크라이나가 곡물 수출 경로를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러시아산 곡물과 비료의 수출도 보장하도록 요구.
- 또한 농업 무역과 관련된 러시아 국영 대출기관인 Rosselkhozbank의 거래 허용과 정상 수준의 보험료 요구.
'블룸버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11.18 오늘의 이슈 : 불러드 매파 발언, 英 증세안 (0) | 2022.11.18 |
---|---|
2022.11.17 오늘의 이슈 : 美 소매판매 호조, 피봇 기대↓, 침체 가능성 (0) | 2022.11.17 |
2022.11.15 오늘의 이슈 : 美中 진전, 연준 감속·달러 피크 (0) | 2022.11.15 |
2022.11.14 오늘의 이슈: 연준 금리 6% vs 긴축 중단 (0) | 2022.11.14 |
22.11.11 오늘의 이슈: 美 물가 환호, 연준 속도 조절? (0) | 2022.11.11 |
22.11.10 오늘의 이슈: 민주당 선전, FTX 인수 철회 (0) | 2022.11.10 |
22.11.09 오늘의 이슈: 美 여소야대? 크립토 멜트다운 (0) | 2022.11.09 |
22.11.08 오늘의 이슈: 美 선거 랠리, 흥국생명 상환 (0) | 2022.1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