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11-11 오늘의 이슈: 美 물가 환호, 연준 속도 조절?
https://www.bloomberg.co.kr/blog/five-things-to-know-132/
오늘 5가지 이슈: 美물가 환호, 연준 속도조절? - Bloomberg Professional Services - Korea
Bloomberg Professional Services connect decision makers to a dynamic network of information, people and ideas.
www.bloomberg.co.kr
✅ 미국 소비자물가지수에 뉴욕 증시 일단 환호.
■ 나스닥지수는 7%가 넘는 폭등.
■ 미국채 금리는 전 구간 20-30bp 대 급락.
■ 달러지수도 2% 넘게 밀렸다.
✅ 일론 머스크, 트위터가 지출하는 것보다 더 많은 돈을 벌어들일 수 없다면 파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美 10월 CPI 예상 하회.. 그래도 여전히 7%대
■ 미국의 10월 CPI가 전년비 7.7% 상승, 예상치 7.9% 하회.
- 러-우 전쟁 전인 올해 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 기록.
- 근원 CPI 역시 전년비 6.3% 오르며 예상치(6.5% 상승)를 하회.
- 식품과 의류, 중고차 등 전 품목에 걸쳐 가격 상승세 둔화 관측.
■ BMO 캐피탈 마켓츠의 이코노미스트 Sal Guatieri는,
- 이제 막 고점에서 내려왔고 겨우 한 달 치 데이터.
- 고작 한 달 치 보고서에 너무 많은 신뢰를 보내면 안 될 것.
✅ 연준 인사들, 인상 속도 조절 가능성 시사..“통화정책은 여전히 타이트해야”
■ 로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
- 금융과 경제 여건 변화를 더 잘 평가할 수 있도록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는 것이 조만간 적절할 수 있다.
- 다만, 인상 속도 둔화가 완화적 정책을 대표한다고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
■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 속도를 늦추는 것은 생각해 보기에 적절하다.
- 멈추는 것은 논의 대상이 아니며, 늦추는 것이 논의 대상.
■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 향후 몇 달간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출 것으로 전망.
- 하지만 명확히 하고 싶은 것은 50bp 금리 인상 역시 여전히 상당폭이라는 점.
■ 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
- 더 높은 금리에 대한 경제의 반응을 판단하는 가운데 금리 인상에 대해 더 신중한 접근이 특히 유용할 것.
■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통화정책이 수요를 더 억제하는 쪽으로 가야 하며 당분간 억제적인 수준에 남아있을 것.
✅ 美 바이든-中 시진핑 14일 회담..“공동성명없을 것”
■ 미 행정부 고위 관계자
- 바이든 대통령이 회담에서 미-중 관계가 추가적으로 악화되지 않을 방법을 모색할 것.
- 구체적인 결과물을 내놓으려는 것이 아닌 만큼 공동성명 역시 없을 것.
- 우크라이나 전쟁과 최근 북한의 핵 활동, 기후변화 억제, 이외 양국 간 협력 여지가 있는 부분에 대해 논의할 예정.
✅ 샘 뱅크먼 프리드, 알라메다 리서치 폐쇄.. FTX.US 직원들, 자산매각 노력
■ 가상 자산 거래소 FTX.com의 설립자 샘 뱅크먼 프리드, 알라메다 리서치 폐쇄.
■ 미국 기반의 FTX.US, 마이애미의 구장 명명권과 주식 청산 플랫폼인 Embed 등을 포함한 자산 매각 추진 중.
■ 일본 정부는 FTX.com의 로컬 자회사에 대해 12월 9일까지 대고객 서비스 중단 명령.
■ 바하마 증권 규제당국, FTX 디지털 마켓츠의 자산 동결.
- 바하마 당국이 FTX를 법정관리에 두려고 함에 따라 임시 청산인 역시 선임.
- FTX.com은 바하마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FTX US와는 별도의 법인.
✅ 美 재무부, 일부 환율 개입 용인 시그널
■ 미국 재무부, 최근 외환시장에서의 일부 개입이 정당화될 수 있다는 시그널을 보냈다.
■ 반기 보고서 관련 브리핑에서
- 달러 강세는 미국의 경제 펀더멘털에 주로 기인한 것.
- 동시에 연준과 다른 중앙은행 간 긴축 속도 차이에 따른 것.
- 많은 국가들이 처한 현재 상황을 고려했을 때 시장 개입이 정당화될 수 있는 기간이 있을 수 있다.
■ 한편, 이번 보고서에서 한국에 대해 미 재무부는
- 한국은 잘 발달된 제도와 시장을 보유 중.
- 환율 개입을 무질서한 시장 상황이라는 예외적인 경우로만 제한해야 할 것.
■ 한국은 중국, 일본, 독일,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대만과 함께 관찰대상국 리스트에 포함됐다.
'블룸버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11.17 오늘의 이슈 : 美 소매판매 호조, 피봇 기대↓, 침체 가능성 (0) | 2022.11.17 |
---|---|
2022.11.16 오늘의 이슈 : 달러 매도 유행, 동유럽·中 피봇 (0) | 2022.11.16 |
2022.11.15 오늘의 이슈 : 美中 진전, 연준 감속·달러 피크 (0) | 2022.11.15 |
2022.11.14 오늘의 이슈: 연준 금리 6% vs 긴축 중단 (0) | 2022.11.14 |
22.11.10 오늘의 이슈: 민주당 선전, FTX 인수 철회 (0) | 2022.11.10 |
22.11.09 오늘의 이슈: 美 여소야대? 크립토 멜트다운 (0) | 2022.11.09 |
22.11.08 오늘의 이슈: 美 선거 랠리, 흥국생명 상환 (0) | 2022.11.08 |
22.11.07 오늘의 이슈: 미국채 고통, 달러 자금시장 (1) | 2022.1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