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장관련/주요 이슈 요약

22.11.18 주요 이슈 정리

by 인베스팅1 2022. 11. 18.

✅ 22.11.18 주요 이슈 정리

✅ 다우 -0.02%, S&P 500 -0.31%, 나스닥 -0.35%, 야간선물 -0.49%, 환율 1342원(+3원), 국제유가 -4.00%, 반도체 지수 +1.05%

✅ 11월 18일

 영국 GfK 소비자신뢰지수

 영국 10월 소매판매

 미국 10월 기존주택판매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 연설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연설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 연설

 요아힘 나겔 분데스방크 총재 연설

 

 

✅ 전일 발표된 지표

 미국 10월 건축허가건수, 발표 152.6만 채, 예측 151.2만 채, 이전 156.4만 채

- 미국 10월 건축허가건수, (MoM) 발표 -2.4%, 이전 1.4%

 미국 10월 주택착공건수, 발표 142.5만 채, 예측 141만 채, 이전 148.8만 채

- 미국 10월 주택착공건수, (MoM) 발표 -4.2%, 이전 -1.3%

- 연준의 금리 인상에 따른 모기지 금리 급등세의 여파가 이어지는 모습.

- 단독주택 착공은 코로나 팬데믹 초기인 2020년 5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추락.

 미국 11월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 발표 -19.4, 예측 -6.2, 이전 -8.7

- 지수가 마이너스면 경기가 위축세임을 시사.

-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 지수는 8월에 5개월 만에 반등한 후 9월부터 3개월 연속 마이너스대를 기록 중.

 미국 11월 캔자스시티 연은 제조업 합성지수, 발표 -6, 예측 -5, 이전 -7

- 그럼에도 이는 지난 2020년 5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인 -7 근처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못함.

- 제조업 생산지수는 -10으로 전월 -22보다 높아짐.

 미국 주간 신규실업수당신청건수, 발표 222K, 예측 225K, 이전 226K

- 미국 연속 실업수당신청건수, 발표 1,507K, 예측 1,500K, 이전 1,494K

 EU 10월 CPI, (YoY) 발표 10.6%, 예측 10.7%, 이전 9.9%

- EU 10월 CPI, (MoM) 발표 1.5%, 예측 1.5%, 이전 1.2%

- EU 10월 근원 CPI, (YoY) 발표 5.0%, 예측 5.0%, 이전 4.8%

- EU 10월 근원 CPI, (MoM) 발표 0.6%, 예측 0.6%, 이전 1.0%

- 10월 수치는 지난 1951년 12월 이후 역대 최고치.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인플레이션이 받아들일 수 없을 정도로 높다.

 지금까지 통화정책 기조의 변화는 관측된 인플레이션에 제한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덜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더라도 정책금리는 아직 충분히 제약적인 구간에 있지 않다.

 인플레이션이 감소할 경우 정책 금리 수준이 낮아질 것이란 기대는 지난 18개월 동안 잘못된 것으로 판명되었다.

 충분히 제약적인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정책 금리가 추가 인상될 필요가 있다.

 최소 5%~5.25%의 정책 금리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가 연설에 사용한 차트에서 충분히 제약적인 금리 수준은 5%~7%로 제시.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한 달 치의 지표만으로 연준이 과도하게 휘둘려서는 안 된다.

 인플레이션이 상승을 멈춘 것으로 확인된다면 금리 인상을 중단할 수 있지만, 아직은 아니다.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찍고 확실히 내려올 때까지는 긴축 기조를 이어가야 한다.

 10월 CPI와 PPI 지표가 모두 "긍정적"으로 인플레이션이 최소 안정기로 접어들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일 수 있다.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찍었다는 확신이 들면 연준이 일정 기간 동안 이전에 시행한 긴축 정책의 완전한 효과를 확인해야 한다.

 연준의 최종 금리 수준에 대해서는 여전히 "확신할 수 없다(open question)".

 

 

 미 10년 물 - 2년 물 장단기 수익률 역전 스프레드 한때 (-)71bp

 이는 지난 1981년 10월에 70bp를 웃돈 후 40여 년 만에 가장 마이너스 폭이 확대된 양상.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마이클 레인킹 선임 시장 전략가

 국채시장은 스스로 앞서 나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불러드 총재가 이번 사이클에서 앞서가고 있어 시장이 그의 의견에 특별히 관심을 기울인 것.

 충분히 제약적인 영역에 도달하려면 연준 금리가 5~7% 사이로 상승해야 한다는 불러드 총재의 추정은 경제 이론에 근거한 것으로, 현재 연준의 견해가 아니다.

 

 

 프레디맥

 한주 동안 미국의 30년 만기 고정 모기지 평균 금리는 전주에 비해 47bp 급락한 6.61%로 집계.

 지난주 발표된 미국의 10월 CPI가 예상을 밑돌자 미 국채 10년 물 수익률이 크게 하락한 영향.

 이는 1981년 이후, 41년 만에 가장 크게 하락.

 프레디맥의 샘 카터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찍었을 수 있음을 시사하는 입수되는 데이터로 인해 이번주 모기지 금리가 급락했다.

- 모기지 금리의 하락은 반가운 소식이지만, 주택시장 입장에선 갈 길이 멀다.

-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고, 연준은 금리를 높게 유지할 가능성이 크고, 소비자들은 계속 영향을 느낄 것.

 

 

 제레미 헌트 영국 재무 장관

 300억 파운드의 지출 삭감과 250억 파운드의 증세를 골자로 한 재정 확충안 공개.

 중앙은행과 보조 맞출 것.

 헌트 장관, 재원 없는 세금 감면은 재원 없는 지출만큼이나 위험하다.

 헌트 장관, 이번 조치로 정부와 BOE가 보조를 맞춰 일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시켜 시장을 안심시킬 것.

 에너지 보조금으로 550억 파운드를 지출 예정.

 에너지 가격 상한선은 가구당 3,000파운드로 설정.

 최고 소득세율 기준을 15만 파운드에서 12만 5,140파운드로 낮출 것.

 과세 구간을 6년간 동결.

 내년 1월부터 2028년 3월까지 석유 및 가스 기업에 대한 세금을 25%에서 35%로 인상할 것.

 공공 주택 임대료 인상을 최대 7%로 제한할 것.

 최저 임금을 9.7% 인상.

 

 

 영국 정부

 2025년부터 전기차에 세금을 부과하기 시작할 예정.

 이번 회계연도에 1695억 파운드 규모의 국채 매각은 계획 중.

 

 

 바이든 행정부

 대법원에 학자금 대출 부채 탕감 프로그램이 재개될 수 있도록 요청할 계획 중.

 만약 학자금 대출자가 파산할 경우 부채를 보다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방안 마련 중.

 

 

 크렘린궁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의 목표는 협상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미국은 우크라이나가 대화에 참여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우크라이나와의 공개 협상은 상상하기 어렵다.

 러시아에서 그 누구도 핵무기 사용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

 러시아의 곡물 협정이 120일 연장되었다.

 

 

 ​CFRA, 나이키 B(NYS:NKE)에 대한 투자의견을 보유에서 매도 등급으로 하향 조정.

 나이키 주가는 9월 30일 52주 최저치인 83.12달러로 마감한 이후 약 26% 급등해 비싸졌다.

 높은 재고가 향후 12개월 동안 마진과 수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홀리데이 시즌과 새해가 다가오면서 소비자들의 저축액이 줄어들고 중국 경제가 둔화되고 있다는 점도 우려.

 

 

 아마존(NAS:AMZN), 역대 최대 규모 감원 돌입.

 CNBC 등에 따르면 아마존은 직원들에게 희망퇴직 신청 등을 받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짐.

 아마존은 이번 구조조정으로 최대 1만 명의 직원 해고할 것으로 예상.

 이는 아마존 창립 28년 만에 최대 규모의 감원을 단행하는 것.

 희망퇴직을 제안받은 부서는 인사, 직원 서비스 등.

 이미 디바이스와 하드웨어 부문 직원의 해고는 시작했음.

 

 

 알리바바 그룹 홀딩(ADR)(NYS:BABA)의 주가 월가의 예상치 밑도는 실적 발표로 약세.

 매출 증가세는 회복했지만 여전히 약한 확장세를 보인 것이 주가 부진의 원인.

 알리바바, 3분기 매출 전년동기 대비 3% 증가한 291억 2천만 달러 기록.

 팩트셋이 집계한 월가의 예상치는 294억 4천만 달러.

 알리바바는 지난주에 있었던 광군제의 판매 실적 발표를 거부한 것으로 알려짐.

 알리바바는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150억 달러 규모로 늘리고 2025 회계연도 말까지 연장 발표함.

 

 

 미국 백화점 체인인 메이시스(NYS:M), 연간 실적 예상치 상향.

 메이시스는 3분기에 매출 52억 3천만 달러, EPS 52센트 기록하며 예상치 상회.

 메이시스는 연간 EPS 예상치를 4.07~4.27달러로 상향 조정.

- 이는 이전의 4.00~4.20달러에서 상향 조정된 수준.

 신용카드 매출과 이자 비용에 대한 기대치 개선 등 반영.

 

 

 미국 백화점 체인 콜스(NYS:KSS), 실적 부진 및 실적 전망치 철회.

 지난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 줄어든 42억 8천만 달러.

 거시경제적 어려움과 소매판매 시장 둔화, 자사의 CEO가 바뀌는 사태 등으로 적합한 전망치를 제시할 수 없다는 주장.

 

 

 신장 치료 신약 개발 아델릭스(NAS:ARDX), 36% 급등.

 미 FDA 자문위원회가 아델릭스의 만성 신장 질환 치료제 엑스포자(Xphozah:성분명 테나파노)의 이점이 위험을 능가한다고 투표한 것으로 알려짐.

 자문위원회 권고 의견은 구속력은 없지만 FDA 약물평가연구센터의 신약평가부서가 아델릭스의 보완요구한 이의신청에 대한 결정을 내릴 때 고려될 예정.

 

 

 코인베이스글로벌(NAS:COIN), 암호화폐 신뢰 악화 속에 주가·채권 가격 타격.

 연초 이후 코인베이스의 주가는 -81%가량 하락.

 시가총액은 110억 달러로 쪼그라들었고, 채권 가격은 액면가의 절반을 약간 웃도는 수준에서 거래.

 금리 상승, 암호화폐 급락, 일부 기업들이 파산에 내몰리는 등 유동성 위기에 시달리면서 코인 베이스 또한 이를 피해 가지 못하는 모습.

 어떤 이유에서든 암호화폐가 유지된다면 코인 베이스는 미국에서 주도 기업 중 하나가 될 것.

 

 

 제너럴 모터스(NYS:GM), 연간 실적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

 GM은 북미 지역의 전기차 생산 능력을 연간 100만 대 이상으로 늘림에 따라 전기차 포트폴리오가 몇 년 안에 수익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 전망.

 전기차와 소프트웨어 매출이 늘어나면서 매출은 2025년까지 연평균 12% 성장할 것으로 예상.

 2025년 전기차 매출은 500억 달러 이상으로 전망.

 2022년부터 2024년 상반기 사이 북미 지역에서 40만 대의 전기차 생산 예상.

 2025년까지 연간 생산 능력을 100만대로 늘릴 것으로 예상.

 GM은 2025년까지 연간 총 자본지출은 매년 110억~130억 달러 범위 전망.

'시장관련 > 주요 이슈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1.17 주요 이슈 정리  (0) 2022.11.17
22.11.16 주요 이슈 정리  (0) 2022.11.16
22.11.15 주요 이슈 정리  (0) 2022.11.15
22.11.14 주요 이슈 정리  (1) 2022.11.14
22.11.11 주요 이슈 정리  (0) 2022.11.11
22.11.10 주요 이슈 정리  (0) 2022.11.10
22.11.09 주요 이슈 정리  (0) 2022.11.09
22.11.08 주요 이슈 정리  (0) 2022.11.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