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11.14 주요 이슈 정리
✅ 다우 +0.10%, S&P 500 +0.92%, 나스닥 +1.88%, 야간선물 +0.58%, 환율 1314원(-5원) 국제유가 +2.88%, 반도체 지수 +3.08%
✅ 11월 14일
■ 미국 뉴욕 연은 기대인플레이션
■ OPEC 월간석유시장보고서
■ EU 9월 산업생산
■ 라엘 브레이너드 FED 부의장 연설
■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연설
■ EU 데 귄도스 ECB 부총재 연설
■ 요아힘 나겔 분데스방크 총재 연설
✅ 지난 금요일 발표된 지표
■ 미국 11월 미시간대 1년 기대인플레이션, 발표 5.1%, 이전 5.0%
- 미국 11월 미시간대 5년 기대인플레이션, 발표 3.00%, 이전 2.90%
■ 미국 11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전망), 발표 52.7, 예측 56.0, 이전 56.2
- 미국 11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종합), 발표 54.7, 예측 59.5, 이전 59.9
- 미국 11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현재), 발표 57.8, 예측 64.0, 이전 65.6
- 11월 미국 소비자들의 경제 신뢰도가 넉 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하락.
■ 독일 10월 CPI, (YoY) 발표 10.4%, 예측 10.4%, 이전 10.0%
- 독일 10월 CPI, (MoM) 발표 0.9%, 예측 0.9%, 이전 1.9%
■ 영국 3분기 GDP, (YoY) 발표 2.4%, 예측 2.1%, 이전 4.4%
- 영국 3분기 GDP, (QoQ) 발표 -0.2%, 예측 -0.5%, 이전 0.2%
■ 영국 9월 산업생산, (YoY) 발표 -3.1%, 예측 -4.3%, 이전 -4.3%
- 영국 9월 산업생산, (MoM) 발표 0.2%, 예측 -0.2%, 이전 -1.4%
✅ 수잔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
■ 정점을 언급하기에는 너무 이르다.
■ 연준이 너무 지나치게 긴축을 했을 가능성이 커졌다고 생각.
✅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 향후 몇 달 동안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출 것으로 예상.
■ 지난 1983년 이후부터 FOMC가 연방기금금리를 올린 사례는 88회.
■ 이 중 75번의 사례에서 금리 인상 폭이 50bp보다 작았다.
✅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 7.7%의 CPI 인플레이션은 매우 높다.
■ 인플레이션을 감안할 때 현재 미국의 금리는 높지 않다.
■ 금리를 당분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것.
■ 연준은 더 느린 속도로 움직일 것.
■ 미국의 주택 시장은 침체될 필요가 있지만, 괜찮을 것.
■ 다음 회의에서 50bp 인상 고려.
■ 금리 5% 수준 여부는 인플레이션 데이터에 근거할 것.
✅ 미국 민주당, 네바다주 추가해 50석 확보.
■ 상원 다수당 수성.
■ 조지아주 결과에 따라 51대 49이냐 50대 50이냐.
■ NBC : 하원은 공화 219석, 민주 216석.
✅ 11일 EU 집행위원회는 경제 전망 보고서를 통해,
■ 올해 4분기와 내년 1분기에 유로존이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 높은 에너지 가격, 생활비 상승, 금리 상승, 글로벌 교역 둔화 등이 올해 마지막 분기에 유로존을 침체로 밀어 넣을 것.
■ 내년 실질 GDP 증가율 전망치는 7월에 발표한 1.4%에서 0.3%로 대폭 하향 조정.
■ 독일 GDP 성장률이 내년 -0.6%를 기록해 마이너스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 이전 전망치는 1.3%.
✅ 뱅크 오브 아메리카(BofA), 인플레 전망.
■ 인플레이션이 하락하는 동안에도 고착화될 것.
■ 경제는 더 심하게 둔화될 것.
■ 인플레이션이 정점에 도달했는지 여부는 명확하지 않아.
■ 문제는 인플레이션이 향후 2~3년 안에 목표치에 충분히 가까워질지 여부.
■ 향후 인플레가 높게 유지될 위험이 더 커질 것.
✅ 씨티그룹
■ 지금부터 12월 성과급, CPI, FOMC 등의 사이에서 약세 촉매를 찾기가 어렵다.
■ 앞으로 몇 주간은 꽤나 흥겨울 것.
■ 2008년 이후의 모든 CPI의 의미 있는 하락 후 전반적으로 뉴욕증시는 다음 60일 동안 랠리가 나왔다.
■ 이 모든 것이 증시가 갑자기 다시 강세장으로 접어들었다는 의미는 아니다.
✅ 바클레이즈
■ 더 높은 금리에 대한 위협이 사라진 점은 주식 시장의 최대 어려움을 해소해 준 셈.
■ 뉴욕 증시가 회복 과정에 접어들었을 수 있다.
■ 시장은 경제보다 더 빨리 저점을 찍는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 내년에 경기 침체를 겪는다고 해도, 시장은 이미 회복기에 접어들었을 것.
■ 뉴욕증시 기술 섹터가 올해 들어 -30% 폭락한 만큼, 현재 장기 투자자들에게는 매력적인 진입 시점.
✅ 증시 분석 기관 데이터트랙 리서치의 공동 창립자 니콜라스 콜라스.
■ 뉴욕 증시 과도하게 낙관할 단계는 아니다.
■ 우리의 조언은 똑같다. CBOE 변동성(VIX) 지수를 주시하라는 것.
✅ 월가의 대표적인 강세론자이자 시장조사업체 펀드스트랫 글로벌 어드바이저스의 리서치 헤드인 톰 리
■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연말 추가 상승을 말하고 있다.
■ CPI가 의미 있는 둔화세를 보였다.
■ S&P500지수, 최대 25% 상승 가능.
✅ 배런스
■ 미국의 CPI 상승세가 둔화에 대해 시장이 흥분을 자제할 필요가 있다.
■ 아직은 한 달의 수치에 불과.
■ 원지수 상승세가 여전히 너무 높아 또 다른 가짜 새벽(false dawn) 일 때를 대비해야 한다.
■ 가짜 새벽(false dawn)은 실상이 그렇지 않음에도 경제 여건이 호전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상황.
■ 이는 기저 효과로 나타난 일종의 착시현상.
✅ 손민규 한은 이코노미스트는,
■ 미·중 갈등, 한국 등 수출의존도 높은 국가에 충격.
■ 지난 4년간의 무역전쟁이 관세 중심에서 기술 갈등으로 변했다.
■ 이제는 공급망을 보호하고 자급자족할 수 있도록 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 이러한 갈등 양상의 경우 관세 중심의 무역전쟁보다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다.
■ 미국과 중국 간의 기술 갈등으로 인해 한국은 대중 교역에 충격을 받을 것.
✅ 박기영 금통위원
■ 크레디트 시장의 유동성 위기에 대응해 한은이 내놓은 담보 인정 범위 확대 등 조치는 좋은 결정.
■ 다만 도덕적 해이의 가능성과 중앙은행 대차대조표의 손실 가능성 등 부작용을 고려할 필요도 있다.
✅ 한국경영자총협회 경제전문가 204명을 대상으로 '최근 경제 상황과 주요 현안'에 대한 설문 결과,
■ 응답자의 44.1%가 지금 수준보다 기준 금리를 더 올릴 필요는 있다고 응답.
■ 또한, 이들은 시장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3.5% 수준이 적절하다고 응답.
■ 기준 금리를 지금 수준에서 유지하거나 인하해야 한다는 응답도 32.9%.
■ 현재 거시 경제 상황에 대해 응답자의 52.7%는 2008년 금융위기 때와 유사하거나 더 어렵다고 진단.
■ 1997년 외환위기 수준으로 진단한 전문가는 6.9%.
■ 응답자의 57.4%는 국내 경제 악화 요인으로
- 러·우 전쟁.
- 미국과 중국의 패권 다툼.
- 에너지 등 경제·정치 위험.
✅ 바이든 행정부, 법원의 중단 명령으로 인해 학자금 대출 면제 프로그램을 중단.
■ 바이든 행정부는 법원의 결정을 뒤집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힘.
✅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
■ 인도가 서방의 보험 및 금융 등을 이용하지 않는다면, G7이 부과한 가격 상한제와 상관없이 러시아산 석유를 계속 구매할 수 있다.
■ 우크라이나 전쟁이 종전되더라도 러시아에 대한 일부 제재는 유지될 것.
✅ 제레미 헌트 영국 재무장관
■ 재정 안정과 잠재적인 장기 불황을 완화시키기 위해 다음 주에 발표될 예산 계획에서 세금을 인상해야 할 것.
■ 영국이 러시아에 대한 에너지 의존도를 낮출 수 있도록 장기적인 에너지 정책을 원해.
✅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 경제 및 녹색 수소 등의 협력을 위해 베트남 방문.
✅ 중국 외교부
■ 시진핑 주석이 G20 정상회의와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회의(APEC) 정상회의 참석.
■ 이 기간 중 바이든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회담 진행.
✅ 중국 국무원
■ 해외 입국자에 대한 집중시설 격리 기간을 기존 7일에서 5일로 단축.
■ 확진자가 나온 항공편에 대해 최대 2주 운항을 중단시키는 서킷 브레이커 규정도 철회.
✅ CATL
■ 최근 일본 다이하츠(DAIHATSU)사와 배터리 공급과 배터리 기술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 CATL, 전기차 생산과 성능을 제고하는 데 기여함으로써 일본과 신흥시장에 가성비 높은 전기차를 제공할 것.
✅ 아마존, 비용 절감 차원에서 AI 비서 '알렉사' 재검토.
■ 알렉사 관련 업무를 하는 직원은 1만 명 이상이며, 알렉사가 속한 기기 사업부는 연간 영업손실이 50억 달러(약 6조 6,000억 원) 이상이라고 전해짐.
✅ 로이터, 테슬라가 상하이 공장에서 북미로 EV 수출 고려 중.
■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해당 기사가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함.
✅ 월트 디즈니, 향후 인력 감축과 고용 동결을 계획 중.
✅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 앞으로 리얼리티 랩 부서의 인원수를 크게 늘릴 생각이 없다.
✅ JP모건, 인텔의 점유율 위축을 이유로 매도 의견 발표.
■ 반면, 점유율 상승을 가져올 기업으로 AMD(+5.70%)가 될 것.
✅ 중국의 코로나 정책 완화 기대에 힘입은 국제유가 상승으로 엑손모빌 +3.12%, 코노코필립스 +3.48% 등 에너지 업종이 강세를 보임.
■ 프리포트 맥모란 +3.51%, 리오틴토 +6.41% 등 광산업체 및 US스틸 +8.20% 등 철강 업종도 동반 상승.
■ 라스베가스 샌즈 +5.53%, 원리조트 +8.31% 등 리조트와 부킹닷컴 +3.56% 등 여행, 매리어트 +3.67%, 힐튼+2.94% 등 호텔 등도 강세 보임.
✅ 파이퍼 샌들러, 코인베이스는 암호화폐의 겨울을 견뎌 낼 수 있는 좋은 위치, 비중확대 의견 유지에 +12.84% 급등.
'시장관련 > 주요 이슈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1.18 주요 이슈 정리 (0) | 2022.11.18 |
---|---|
22.11.17 주요 이슈 정리 (0) | 2022.11.17 |
22.11.16 주요 이슈 정리 (0) | 2022.11.16 |
22.11.15 주요 이슈 정리 (0) | 2022.11.15 |
22.11.11 주요 이슈 정리 (0) | 2022.11.11 |
22.11.10 주요 이슈 정리 (0) | 2022.11.10 |
22.11.09 주요 이슈 정리 (0) | 2022.11.09 |
22.11.08 주요 이슈 정리 (0) | 2022.1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