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11.10 해외 시황
✅ 다우 -1.95%, S&P 500 -2.08%, 나스닥 -2.48%, 야간선물 -0.93%, 환율 1370원(+4원) 국제유가 -3.72%, 반도체 지수 -3.00%
✅ 옵션만기일
■ 미국 10월 CPI
■ MSCI 반기 리뷰
✅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 미국의 장기 기대인플레이션이 FOMC의 장기 목표치와 대체로 일치하는 수준에서 상당히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
■ 연준은 인플레이션 싸움이 경기 침체로 이어질 위험을 감수해야 할 것.
■ 미국은 앞으로도 노동력 부족에 직면할 것.
■ 인플레이션이 하락하기 시작할 것.
✅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은 총재
■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출 때가 됐다.
■ 훨씬 더 높은 금리는 경기 후퇴 위험을 높이고, 고용을 위태롭게 할 것.
■ 인플레이션이 곧 둔화되기 시작할 것.
✅ 미국의 30년 모기지 금리 7.14%로 2001년 이후 거의 최고 수준까지 상승.
✅ 바이든 대통령
■ 러시아가 헤르손에서 철수한 것은 그들이 심각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중국의 시 부주석을 만났을 때, 어떠한 근본적인 양보도 하지 않을 것.
■ 대만 독트린은 처음부터 전혀 변하지 않았으며, 대만 문제를 논의할 것.
✅ 유럽 연합 국가들이 은행 건전성 강화 국제 기준인 바젤 Ⅲ의 마지막 단계 도입을 2025년 1월까지 연기하기로 함.
■ EU 재무 장관들은 이같은 규제 완화안에 합의했으며, 내년 1월 최종 결정이 내려질 예정.
✅ 미국 증시
■ 중간선거 민주당 선전, 암호화폐 시장 급락 등에 하락.
- 중간선거 개표 결과 공화당의 의회 장악 여부가 불분명한 가운데 집권 민주당의 예상외 선전과, 암호화폐 시장 급락, CPI 발표를 앞둔 경계감에 따른 영향으로 하락.
- 민주당의 예상과 다른 선전이 부담으로 작용하며 달러 강세, 기술주 중심으로 매물 출회.
- 장 마감 직전 바이낸스의 FTX 인수 철회 발표로 암호화폐 시장 변동성 더욱 확대된 점도 부담.
■ 미 중간선거 상원의 현재 결과가 나오지 않은 주는 조지아, 네바다, 애리조나.
- 현재 양정당의 의석수는 50:49로 12월 6일 결선투표 가능성이 높은 조지아주 제외 네바다 공화당 우세, 애리조나 민주당 우세로 알려짐.
- 이점은 공화당이 상원을 장악할 것이라는 사전의 기대가 달라진 부분임.
- 또한, 공화당의 압도적인 승리를 예상했던 하원에서도 실제로는 3~5석 내외의 승리에 그칠 것이라는 점.
- 이는 중도파를 고려하면, 공화당이 주도적으로 정책을 펼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것.
- 결국 예상과 다른 선거 결과에 재정 인플레 제어 가능성이 약화되었으며, 이로 인해 달러 강세, 기술주 하락함.
■ 암호화폐 이틀째 급락 흐름.
- 바이낸스가 유동성 위기에 처한 FTX의 비미국 부문 인수 의지를 내비쳤으나, 인수 추진을 중단한다는 소식 때문.
- 바이낸스는 기업 실사와 고객 자금에 대한 잘못된 관리, 미국 관계 기관의 조사 소식 등을 고려했다고 함
- 이 영향에 테슬라 -7.17%, 마이크로스트레티지 -19.58%, 코인베이스 -9.54% 등 하락폭 확대.
■ 10년 물 국채 입찰에서 채권 수요가 부진하자 국채금리가 상승 전환했으며 이로 인한 달러 강세가 더욱 확대됨.
■ 국채금리는 10년 물 국채 입찰 수요 부진과 10월 CPI를 앞두고 경계감이 강화되며 하락.
- 미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이 하원을 장악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시장 참가자들이 예상했던 결과를 소화.
- 12월 75bp 인상 가능성은 43.2%, 50bp 인상 가능성 56.8%.
- 미 국채금리는 2Y 4.58%(-6.7bp), 10Y 4.09%(-3.1bp) 기록.
- 한편 미 국채 10년 물 입찰은 저조한 수요를 보임.
- 10년 물 발행 금리는 4.14% 기록하여, 2008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
- 10년 -2년 금리역전폭 축소.
- 실질금리 반등, 기대인플레이션 하락.
■ 달러화는 중간선거에서 민주당이 상원 다수당을 수성할 것으로 점쳐지는 등 의외로 선전한데다 CPI 발표를 앞두고 경계감이 강화되며 강세 전환.
■ 국제유가는 원유 재고가 컨센서스 대비 증가하고 중국의 코로나 관련 봉쇄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된 영향으로 하락.
- 천연가스는 따뜻한 날씨 전망으로 인해 하락.
- 유럽 천연가스 TTF도 따뜻한 날씨 지속 전망으로 하락.
- 구리 및 비철금속은 달러 강세 및 중국의 경제 봉쇄 등으로 부진.
- 밀은 미 농무부의 글로벌 공급 전망치 상향 조정에 하락, 옥수수도 동반 하락, 대두는 소폭 상승.
✅ 중국 증시
■ 중국의 물가 지표가 부진한 가운데 미국 중간선거 결과 및 미국 CPI 관망하며 하락.
■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고 발표.
- 이는 시장 예상치인 2.3%를 다소 하회 한 수준.
■ 10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월 대비 1.3% 하락.
- 시장 예상치는 1.5% 하락.
- 당국의 엄격한 봉쇄 조치, 일부 원자재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22개월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 기록.
✅ 한국 증시
■ 코스피 2424.41 (+25.37) +1.06% (외국인 +4127억, 기관 +3482억)
- 코스닥 714.60 (+1.27) +0.18% (외국인 +129억, 기관 -860억)
- 원달러환율 1364.80 (-20.10) -1.45%
■ 미국 중간선거 개표 결과가 속속 보도되는 가운데 외인 선현물 동반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
- 코스닥은 기관의 매도세에 상대적으로 약한 흐름을 보이며 소폭 상승 마감.
- 미 중간선거는 예상대로 하원은 공화당이 장악한 가운데 상원은 박빙의 개표가 진행되는 중.
- 원달러환율은 지속 하락하며 원화 약세 지속 완화.
- 미 중간선거에서 민주당의 선전이 부각되며 신재생에너지, 2차 전지 등 관련 종목군 강세.
- 어제 은행권 대출을 통한 자금조달 소식에 한국전력이 급등하며 전기 가스 업종 강세.
- 암호화폐 급락에 따른 위메이드 등 관련 게임주 대체로 하락.
■ 시장 특징주
- 동아화성, 차세대 수소 연료전지 상용화 기대.
- 영풍, 2차 전지 리튬 회수 기술 세계 첫 상용화 기대.
- 에코플라스틱, 현대차 전기차 범퍼 공급에 이어 기아에도 공급 소식.
- 엠에스오토텍, 국내 최초 개발 탄소섬유 강화 복합소재 기술 이전 소식.
- GS리테일, 3분기 호실적.
- 씨에스윈드, 내년 수주 증가 기대.
- 삼성전기, 서버용 FC-BGA 기판 양산 시작 소식.
'시장관련 > 해외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1.16 해외 시황 (0) | 2022.11.16 |
---|---|
22.11.15 해외 시황 (0) | 2022.11.15 |
22.11.14 해외 시황 (0) | 2022.11.14 |
22.11.11 해외 시황 (0) | 2022.11.11 |
22.11.09 해외 시황 (0) | 2022.11.09 |
22.11.08 해외 시황 (0) | 2022.11.08 |
22.11.07 해외 시황 (0) | 2022.11.07 |
22.11.04 해외 시황 (1) | 2022.1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