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11.04 해외 시황
✅ 다우 -0.46%%, S&P 500 -1.06%, 나스닥 -1.73%, 야간선물 +0.00%, 환율 1424원(+0원) 국제유가 -2.20%, 반도체 지수 -1.53%
✅ 미국 10월 ISM 비제조업 PMI, 발표 54.4, 예측 55.5, 이전 56.7
■ 고용지수, 발표 49.1, 이전 53.0 둔화.
■ 신규주문은, 발표 56.5, 이전 60.6 둔화.
■ ISM은 10월 서비스 PMI는 2020년 5월 이후 최저.
■ 다만, ISM의 서비스 PMI는 '50'을 웃돌며 업황 확장 국면에 머무름.
✅ 애틀랜타 연은, 미국 4분기 GDP 전망치 3.6%.
■ 이는 지난 1일 전망치 2.6%에서 상향 조정.
■ 4분기 실질 개인소비지출 증가율, 직전의 2.9%에서 4.0%로 증가.
■ 4분기 민간 국내 총 투자 증가율, 직전의 -1.3%에서 0.7%로 증가.
■ 반면, 4분기 실질 GDP 성장률에 대한 순수출 변화 비중은 0.74% 포인트에서 0.62% 포인트로 감소.
✅ 신채권왕 건들락
■ 연준, 기준금리 4.5%까지만 인상할 듯.
■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으로 최종 금리가 5% 수준까지도 바라보고 있으나 이 수준을 넘어서긴 힘들다는 것.
■ 연준의 대차대조표 축소와 최근의 원자재 가격 하락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완화했다고 지적.
■ 일련의 경제 지표가 수개월 내 미국의 침체를 가리키고 있다고 지적.
■ 연준이 두 번 더 금리를 올릴 것이라며 총 인상 폭은 75bp에 그칠 것.
■ 연준이 금리를 4.5%~4.75%까지만 인상할 것이라는 얘기.
■ 소비자물가지수가 내년 5월까지 4.5%로 하락하고 이후에 추가 하락할 것이라고 말함.
✅ 호주의 9월 무역수지는 124억 4440만 호주달러(약 11조 2444억 원) 흑자를 기록.
■ 전월대비 19% 급증한 LNG를 비롯 광물, 연료 등의 수출 호조 때문.
✅ 한국은행, 향후 금융시장에 높은 변동성이 이어질 것.
✅ 세계 최대 컨테이너 해운사 머스크가 올해 3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
■ 다만, 향후 수요에 대해서는 둔화될 것이라고 경고.
■ 3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EBITDA가 109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
■ 이는 전년동기대비 60% 증가한 것이며 시장 예상치 98억 달러를 웃도는 수준.
✅ 퀄컴은 스마트폰 출하량 감소 언급하며 매출 가이던스 하향 조정 여파로 -7.66% 하락.
✅ 언더아머는 달러 강세와 스포츠 웨어 수요 감소 등으로 연간 전망을 하향 조정했으나 견고한 실적 발표와 연말 쇼핑시즌에 대한 기대감으로 +11.97% 급등함.
✅ 코노코필립스가 견고한 실적을 발표하며 +5.78% 상승함.
■ 이 영향으로 엑슨모빌 +1.36%, EOG리소스 +2.06% 등 여타 에너지 업종도 동반 상승.
■ 퍼스트솔라 +5.10%, 진코솔라 +2.46% 등 태양광 업종도 동반 상승.
✅ 스타벅스는 미국 매장 매출 증가로 예상을 상회한 실적 발표하자 시간 외 +3% 상승.
■ 스타벅스(SBUX) 실적 발표(서프라이즈, 견고한 미국의 소비)
- 매출 84.1억 달러 / 컨센서스 83.1억 달러
- EPS $0.81 / 컨센서스 $0.72
- 북미 매출(YoY) +11% / 컨센서스 +7.57%
- 중국 매출(YoY) -16% / -21.7%

✅ 코인베이스(COIN) 실적 발표[컨센 하회]
■ 매출 5.90억 달러 / 컨센서스 6.43억 달러
■ EPS -$2.43 / 컨센서스 -$2.23
■ EBITDA : -$115.9M(3Q21 : +$618.2M)
■ Trading volume : $159B(3Q21 $327B / 2Q22 $217B)
■ Monthly Transact Users(MTU) 8.5M(3Q21 7.3M / 2Q22 9.0M)
■ 시총 930억 달러에서 현재 시총 125억 달러까지 오는데 18개월 소요.
■ 장중 -8.05% / 시간 외 +0.5%.

✅ 미국 증시
■ 매파적 FOMC 후폭풍에 하락.
- 매파적 FOMC 회의의 영향이 지속되는 한편, BOE의 자이언트스텝 인상에 따른 영국 경기 침체 우려로 파운드화가 약세 보인 데 따른 달러 강세, 국채금리 상승세 지속되며 하락.
- 파운드화 약세, 달러 강세 확대, 국채금리 상승, IT 섹터 중심 하락.
- 애플(-4.24%)은 폭스콘 공장 가동 중단에 따른 매출 타격 우려, IT 하락 주도.
- 반면, 에너지 관련주는 신재생 포함 모두 견고했음.
■ 영국 BOE 통화정책회의에
서 기준금리를 75bp 자이언트 스텝 인상.
- 이는 1989년 이후 최대 인상 폭.
- 영국은 경기 침체 장기화를 전망함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가격 등에 의한 인플레이션 억제 목표에 주력해 고강도 긴축을 단행.
- BOE는 영국의 GDP가 시장금리의 상승 경로에 따라 2024년 상반기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
- 이는 곧 경기 침체를 의미.
- 이에 파운드화 약세, 달러 강세, IT 섹터 하락 야기.
■ 10월 ISM 서비스업 PMI는 54.4로, 컨센서스(55.5) 및 전월치(56.7) 하회.
- 고용지수가 53.0에서 49.1로 기준선을 하회.
■ 신규 실업 수당 청구건수는 21.7만 건을 기록해 여전히 견고.
- 반면, 구조조정을 의미하는 10월 대량 해고자수는 전월 대비 2만 9,989건에서 3만 3,843건으로 증가.
- 2021년 2월 이후 최고 수준 기록.
■ 앞서 발표된 ADP 민간 고용 보고서에서도 연말 준비하는 일부 산업을 중심으로 고용이 증가했을 뿐, IT 등은 감소했다고 발표.
■ 금요일 발표되는 고용 보고서에서 고용 둔화를 시사한다면, 시장 안정 찾을 듯.
■ 미 국채 수익률 파월 연준 의장의 최종 금리 더 오를 것이란 언급으로 상승.
- 이날 BOE는 75bp 금리 인상에 나서면서 시장의 우려를 키움.
- FedWatch 상 12월 75bp 인상할 확률은 50.4%, 50bp 인상 확률은 49.6%로 집계.
- 내년 3월 기준금리 4.75~5.00%(현행 대비 +125bp) 확률은 49.7%
- 내년 3월 기준금리 5.00~5.25%(현행 대비 +150bp) 확률은 46.5%
- 미 국채금리는 2Y 4.71%(+9.4bp), 10Y 4.15%(+4.6bp) 기록하며 2년 물을 중심으로 상승.
- 10년-2년 금리 역전 축소.
- 실질금리 상승, 기대인플레이션 하락.
■ 달러화는 연준이 예상보다 매파적인 통화정책 행보를 강화하면서 고공행진 재개.
- BOE도 기준금리를 75bp나 올렸지만, 파운드화는 달러화에 대해 되레 급락.
- BOE가 연준만큼 매파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이어가지는 못할 것으로 진단 때문.
- 유로화도 경기 침체 이슈로 달러 대비 약세.
- 엔화는 제한된 약세.
■ 국제유가는 달러화 강세와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공격적 긴축으로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에 하락.
- 미국 천연가스는 지난주 천연가스 재고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자 하락.
- 구리 및 비철금속은 달러 강세 및 중국의 코로나 봉쇄 정책 지속 영향으로 하락.
- 밀은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 재개에 지속 하락, 옥수수와 대두도 동반 하락.
✅ 중국 증시
■ 주요 지수의 이틀 급등에 따른 하락.
- 미 연준의 통화정책 이벤트가 끝나고 글로벌 증시가 전반적인 약세를 보인 영향.
- 코로나 감염 증가 및 엄격한 봉쇄 조치로 중국 기업 및 서비스 활동이 위축된 점도 중국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
■ 이날 중국의 코로나 신규 감염자가 두 달여 만에 다시 3천 명 돌파함.
■ 홍콩 증시도 3% 내외의 급락.
- 연준의 75bp 금리 인상에 따른 기준금리 인상 영향.
■ 중국 10월 차이신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 48.4로 전월 대비 하락.
- 두 달 연속 50 이하 기록, 위축 국면 지속.
■ 위안화 절하 고시, 7.2472위안.
✅ 한국 증시
■ 코스피 2329.17 (-7.70) -0.33% (외국인 +1746억, 기관 -5850억)
- 코스닥 694.13 (-3.24) -0.46% (외국인 +340억, 기관 -1080억)
- 원달러환율 1423.80 (+6.40) +0.45%
■ 파월 연준 의장의 매파적 발언에 소폭 하락.
- 코스닥 또한 연준의 매파적 기조에 하락. 다만 어제 낙폭이 있었던 2차 전지 소재주가 상대적으로 견조하며 지수 낙폭을 제한.
- 다만 미 텍사스 교직원 연금의 중국 비중 축소 및 한국 비중 확대 내용이 재차 보도된 가운데 실제 외인 현물 순매수가 유입되며 장중 상승 전환하기도 함.
- 어제 낙폭이 컸던 2차 전지 종목군 강세.
- 체코, 사우디 원전 진출 기대에 두산에너빌리티 등 원전주가 재차 반등.
- 유가 및 가스 가격 반등에 강관, 밸브 등 강세.
- 사우디 빈살만 왕세자 방한 가능성 보도에 건설 등 관련 종목군 강세.
■ 시장 특징주
- 포스코케미칼, 음극재 투자 소식
- 희림, 국토부 수주 지원단 합류 소식
- 두산퓨얼셀, 사우디와 수소에너지 투자 협력 강화 기대에 관련주로
- 강원에너지, 강원이솔루션 리튬 분체 생산 기대
- 쏠리드, 3분기 실적 호조 전망
- 고려아연, 3분기 실적 부진에 하락
- 카카오페이, 보호예수 해제.
'시장관련 > 해외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1.10 해외 시황 (0) | 2022.11.10 |
---|---|
22.11.09 해외 시황 (0) | 2022.11.09 |
22.11.08 해외 시황 (0) | 2022.11.08 |
22.11.07 해외 시황 (0) | 2022.11.07 |
22.11.03 해외 시황 (0) | 2022.11.03 |
22.11.01해외 시황 (0) | 2022.11.01 |
22.10.31해외 시황 (0) | 2022.10.31 |
22.10.28 해외 시황 (0) | 2022.10.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