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장관련/해외 시황

22.10.31해외 시황

by 인베스팅1 2022. 10. 31.

✅ 22.10.31해외 시황

 

 

✅ 다우 +2.59%, S&P 500 +2.46%, 나스닥 +2.87%, 야간선물 +1.20%, 환율 1421원(-1원) 국제유가 -1.32%, 반도체 지수 +3.98%

 

 

 미국 9월 PCE 물가지수, (YoY) 발표 6.2%, 이전 6.2%

 미국 9월 PCE 물가지수, (MoM) 발표 0.3%, 이전 0.3%

-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가 대체로 예상 수준에 부합.

- 그러나 물가 상승률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

 미국 9월 근원 PCE 물가지수, (YoY) 발표 5.1%, 예측 5.2%, 이전 4.9%

 미국 9월 근원 PCE 물가지수, (MoM) 발표 0.5%, 예측 0.5%, 이전 0.5%

 

 

 미국 9월 실질소비지출, (MoM) 발표 0.3%, 이전 0.3%

 미국 9월 개인소득, (MoM) 발표 0.4%, 예측 0.3%, 이전 0.4%

 미국 9월 소비지출, (MoM) 발표 0.6%, 예측 0.4%, 이전 0.6%

 

 

 미국 10월 미시간대 1년 기대인플레이션, 발표 5.0%, 이전 5.1%

 미국 10월 미시간대 5년 기대인플레이션, 발표 2.90%, 이전 2.90%

 

 

 3분기 S&P 500 어닝 대시보드.

 

 

 IMF, 중국 경기 둔화 등을 이유로 올해 중국과 아시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함.

 IMF는 올해 아시아 지역 성장률 예상치를 4.0%로 4월 추정치 4.9%보다 0.9%p 하향.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5.1%에서 4.3%로 하향 조정.

 이는 코로나 확산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6.5% 성장률을 기록했던 지난해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

 

 

 골드만삭스, 내년 3월 연준의 최고 금리를 5%로 전망.

 

 

 미국, 대중 수출제한 첨단 기술 분야 확대 및 동맹국들의 동참 추진 중.

 앨런 에스테베스 미 상무부 차관, 추가 수출 규제를 고려 중.

 앨런 에스테베스 미 상무부 차관, 동맹국들이 중국에 관련 상품이나 서비스를 수출하는 것을 제한하는 합의에 곧 이를 것으로 기대.

 

 

 러시아, 우크라이나 곡물 협정에 대한 참여를 중단.

 러시아는 월요일 유엔 안보리 회의에서 곡물 거래 중단을 초래한 흑해 함대 공격에 대해 논의할 것을 요청함.

 

 

 인도가 이달 말까지 시행하기로 했던 설탕 수출제한을 2023년 10월까지 1년 연장할 계획.

 

 

 반도체 업황이 4분기 위축이 확대될 수 있으나, 업황 바닥이 다가오고 있다는 분석 나와.

 이 소식에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3.98% 상승.

 엔비디아 +4.99%, AMD +5.82%, 퀄컴 +3.93%, 마이크론 +3.50% 등 반도체 업종 급등.

 인텔의 예상을 상회한 실적 발표와 비용 절감 진행 소식에 따른 급등 영향도 상승 요인.

 

 

 애플, 실적 발표 후 환율 이슈가 없었다면 두 자릿수 성장을 했을 것이라는 팀 쿡 CEO의 발언에 +7.55% 급등.

 일부 주요 품목의 매출 둔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확장세는 이어갈 것이라는 분석도 상승 요인.

 

 

✅ 미국 증시

 애플, 인텔 급등에 상승.

- 3분기 실적 서프라이즈를 기록한 애플(+7.6%), 인텔(+10.7%)의 주가 폭등, PCE 물가 상승세 둔화 등에 힘입어 상승.

- 부진한 아마존(-6.80%) 실적 발표로 대형 기술주 약세 보이며 혼조 출발.

- 애플(+7.55%)의 달러 강세가 실적에 막대한 영향을 줬을 뿐 이를 제외한다면 크게 개선되었다는 발표에 상승 확대.

 

 9월 PCE 물가지수 0.3% MoM, 6.2% YoY 기록.

- 근원 PCE 물가는 0.5% MoM, 5.1% YoY로 컨센서스(0.5% MoM, 5.2% YoY) 대비 YoY 소폭 하회.

- 여전히 물가 상승 압력이 견고하게 이어지고 있음.

- 그럼에도 점차 물가의 안정 가능성은 부각되고 있음.

 10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59.9pt로 예비치(59.8pt), 전월치(58.6pt) 모두 상회.

 미국 9월 개인 소비지출이 전월 대비 0.6% 증가.

-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한 지출이 0.9% 증가.

- 의류, 호텔, 항공, 교통 서비스 등 대면 접촉과 관련된 품목의 지출 증가.

 

 FedWatch 상 11월 75bp 인상 확률은 80.3%로 집계.

- 시장은 연준의 금리 인상 폭 조절 기대를 확대하는 가운데, 최종 금리도 2023년 3월 4.75~5.00% 가능성을 46.8%를 가장 높은 수준으로 유지.

- 미 국채금리는 2Y 4.41%(+14.0bp), 10Y 4.01%(+9.4bp) 기록하며 2년 물 중심으로 상승.

- 10년 물은 4%를 재차 상회.

 

 대형 기술주의 실적 발표 이후 변동성 확대 경향.

- MS와 애플은 견고한 실적을 발표.

- 알파벳과 메타 플랫폼, 아마존은 디지털 광고 수익 둔화와 소비지출 위축 등으로 예상 하회.

- 이들 빅테크는 증시 비중이 큰 만큼, 이들의 변동성이 곧 증시 변동성.

- 빅테크들의 컨퍼런스 콜 공통적 의견은 '달러 강세가 이익에 악영향을 줬다'라는 것.

- 애플과 아마존 CEO 등은 달러 강세가 없었다면 두 자릿수 이상의 성장을 보였을 것이라고 언급.

 

 지난 29일 러시아 국방부는 지난 7월 체결했던 우크라이나산 곡물 수출을 허용하는 내용의 흑해 협정 이행을 중단한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

 

 국채금리는 PCE 가격지수 상승세가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보이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상승.

-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에 추가 제재할 것이라는 소식.

- 미중 갈등에 따른 공급망 불안으로 인플레 압력이 확대될 수 있다는 분석.

- 10년-2년 금리역전폭 확대.

- 기대인플레이션 반등.

 

 달러화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연준이 매파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고수할 것으로 우려되면서 상승.

- 엔화는 BOJ가 초완화적인 통화정책 고수에 약세.

- 파운드화는 정책에 대한 기대로 달러 대비 강세.

- 유로화는 보합권 등락.

 

 국제유가는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이 지속되며 코로나 봉쇄 조치 관련 불확실성이 재차 부각, 글로벌 수요 둔화에 대한 우려가 두드러진 영향으로 하락.

- 중국의 최대 정유업체인 시노펙의 1~9월까지의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6% 감소했다는 소식.

- 이는 코로나 봉쇄로 중국의 연료 수요가 악화된데 따른 것으로 추정.

- 러시아 재무부가 원유 생산량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는 소식에 하락 폭은 제한

- 구리 및 비철금속은 중국의 경기 둔화 및 중국 내 생산량 증가 소식에 급락.

- 옥수수는 미국 수출 판매 둔화 이슈로 하락, 밀도 달러 강세에 따른 수출 둔화 우려로 하락.

 

 

✅ 중국 증시

 새로운 중국 지도부에 대한 정책적 불확실성과 기술주 우려, FOMC를 앞둔 경계로 대폭 하락.

- 중국의 새로운 지도부가 '제로 코로나' 정책 고수.

- 침체된 부동산 부문에 대한 지원 부족.

- 또한, 알파벳, 아마존, 메타 등 미국 주요 빅테크의 실적 부진.

- 미국의 중국에 대한 반도체 수출 규제 및 동맹국과의 합의 진행 중이란 소식에 따른 기술주 중심 하락.

 앨런 에스테베스 상무부 산업·안보 차관

- 미 정부가 반도체 공급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네덜란드·일본 등 동맹국 대상으로 중국의 반도체 등 기술 산업과 관련해 자체적인 수출 통제 조치를 내놓도록 설득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인민은행, 달러-위안 거래 기준환율을 0.18% 올린 7.1698위안에 고시.

 

 

✅ 한국 증시

 코스피 2268.40 (-20.38) -0.89% (외국인 -1920억, 기관 +2519억)

- 코스닥 687.63 (-7.46) -1.07% (외국인 +384억, 기관 -1048억)

- 원달러환율 1421.50 (+4.50) +0.32%

 반도체 업황 우려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IT 업종 부진에 하락.

- 외인 선현물 동반 매도세.

- 코스닥 또한 반도체 업종 부진에 따른 영향으로 하락.

- 코스닥은 시총 상위 엘앤에프, 에코프로비엠이 강세를 보였지만 대다수의 종목 하락.

- 인위적 감산은 없다는 삼성전자의 컨퍼런스 콜에 따른 업황 우려 영향이 이어지며 SK하이닉스가 -7.33% 급락하고 삼성전자도 동반 하락.

- 정적 실적을 보인 현대모비스 상승에 자동차업종 강세.

 

 시장 특징주

- 코난테크놀로지, SK커뮤니케이션즈가 보유한 지분 20.77%를 SKT가 인수해 2대 주주로 올랐다는 소식.

- 현대엘리베이터, 500억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

- S-Oil, 4분기 실적 회복 전망.

- HL만도, 북미 전기차 매출 증가세 수혜 분석.

- 명신산업, 현대차 체코 전기차 생산 확대 수혜 기대.

- 위메이드, 암호화폐 위믹스 투자 유의 지정에 급락.

 

 

'시장관련 > 해외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1.07 해외 시황  (0) 2022.11.07
22.11.04 해외 시황  (1) 2022.11.04
22.11.03 해외 시황  (0) 2022.11.03
22.11.01해외 시황  (0) 2022.11.01
22.10.28 해외 시황  (0) 2022.10.28
22.10.27 해외 시황  (0) 2022.10.27
22.10.25 해외 시황  (0) 2022.10.25
22.10.24 해외 시황  (0) 2022.10.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