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11.04 주요 이슈 정리
✅ 다우 -0.46%%, S&P 500 -1.06%, 나스닥 -1.73%, 야간선물 +0.00%, 환율 1424원(+0원) 국제유가 -2.20%, 반도체 지수 -1.53%
✅ 11월 4일
■ 미국 10월 고용동향 보고서
■ 미국 10월 실업률
■ 미국 10월 민간 비농업 취업자수
■ 미국 10월 비농업 취업자수
■ 미국 9월 소비자신용지수
■ 미국 주간 원유 채굴장비 수
■ EU 9월 PPI
■ EU 10월 합성 PMI
■ 독일 10월 합성 PMI
■ 독일 10월 서비스업 PMI
■ 독일 9월 공장 수주
■ 수잔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 연설
■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 연설
■ 미국 간학회(AASLD) 개최 예정
■ 넷플릭스 광고 요금제 국내 출시 예정
■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네옴시티 수주 관련 사우디 방문 예정
■ 독일 숄츠 총리, 첫 중국 방문 예정
■ 금호석유, LG유플러스, LG헬로비전, 롯데쇼핑, 코스메카코리아, 잉글우드랩, 이노션, 웹젠, 휴온스, 현대퓨처넷 실적 발표
✅ 전일 발표된 지표
■ 미국 10월 ISM 비제조업 PMI, 발표 54.4, 예측 55.5, 이전 56.7
- 고용지수, 발표 49.1, 이전 53.0 둔화.
- 신규 주문은, 발표 56.5, 이전 60.6 둔화.
- ISM은 10월 서비스 PMI는 2020년 5월 이후 최저.
- 다만, ISM의 서비스 PMI는 '50'을 웃돌며 업황 확장 국면에 머무름.
■ 미국 10월 합성 PMI, 발표 48.2, 예측 47.3, 이전 49.5
■ 미국 10월 서비스업 PMI, 발표 47.8, 예측 46.6, 이전 49.3
- 위축 국면.
■ 미국 9월 제조업 수주, MoM 발표 0.3%, 예측 0.3%, 이전 0.2%
- 미국 9월 제조업 수주-운송 제외, MoM 발표 -0.1%, 이전 0.1%
■ 미국 9월 내구재 수주-운송 제외, MoM 발표 -0.5%, 이전 -0.5%
■ 미국 9월 무역수지, 발표 -733억 달러, 예측 -722억 달러, 이전 -657억 달러.
- 무역수지 적자는 5개월 연속 감소한 후 9월에 증가.
- 9월 수출은 2천580억 달러로 전월보다 1.1% 감소.
- 수입은 3천313억 달러로 전월보다 1.5% 증가.
■ 미국 신규실업수당 신청건수, 발표 21.7만 건, 예측 22.0만 건, 이전 21.8만 건
- 4주 평균은 21만 9,250건에서 21만 8,750건으로 감소.
- 연속 신청건수는 143만 8천 건에서 148만 5천 건으로 증가.
- 미국 10월 대량 해고자수는 지난달 발표된 2만 9,989건에서 3만 3,843건으로 증가.
- 2021년 2 월 이후 최고 수준.
- IT 부문이 9,587건으로 주도.
- 서비스와 헬스케어 등도 2천 건대 구조조정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
■ 영국 10월 합성 PMI, 발표 48.2, 예측 47.2, 이전 49.1
■ 영국 10월 서비스업 PMI, 발표 48.8, 예측 47.5, 이전 50.0
■ 영국 BOE 기준금리 결정, 발표 3.00%, 예측 3.00%, 이전 2.25%
✅ 잉글랜드은행, 75bp 금리 인상
■ 기준금리를 연 2.25%에서 3%로 상향.
■ 금리 인상 폭은 시장 예상치와 일치.
■ 지난 8월과 9월에 50bp 금리 인상 단행했었음.
■ 금리 인상 폭은 1989년 이후 최대.
■ BOE는 지난해 12월부터 이날까지 8회 연속 금리 인상.
■ 이번 회의에서 9명의 위원 전원이 금리 인상 찬성.
■ 금리 인상 폭 75bp에는 7명이 찬성하고 2명이 반대.(50bp 1명, 25bp 1명)
✅ 애틀랜타 연은, 미국 4분기 GDP 전망치 3.6%.
■ 이는 지난 1일 전망치 2.6%에서 상향 조정.
■ 4분기 실질 개인소비지출 증가율, 직전의 2.9%에서 4.0%로 증가.
■ 4분기 민간 국내 총 투자 증가율, 직전의 -1.3%에서 0.7%로 증가.
■ 반면, 4분기 실질 GDP 성장률에 대한 순수출 변화 비중은 0.74% 포인트에서 0.62% 포인트로 감소.
✅ 신채권왕 건들락
■ 연준, 기준금리 4.5%까지만 인상할 듯.
■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으로 최종 금리가 5% 수준까지도 바라보고 있으나 이 수준을 넘어서긴 힘들다는 것.
■ 연준의 대차대조표 축소와 최근의 원자재 가격 하락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완화했다고 지적.
■ 일련의 경제 지표가 수개월 내 미국의 침체를 가리키고 있다고 지적.
■ 연준이 두 번 더 금리를 올릴 것이라며 총 인상 폭은 75bp에 그칠 것.
■ 연준이 금리를 4.5%~4.75%까지만 인상할 것이라는 얘기.
■ 소비자물가지수가 내년 5월까지 4.5%로 하락하고 이후에 추가 하락할 것이라고 말함.
✅ ING의 제임스 스미스
■ BOE가 파운드화를 보호하기 위해 강력하게 금리를 올리기보다 좀 더 조심스럽게 행동하는 것을 선호할 것.
■ 12월에 금리를 50bp 인상하며, 내년에 기준금리가 4%를 넘어서지는 않을 것.
✅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이 매파적으로 해석된 만큼 주가는 다시 하락할 수 있다고 이들 전문가들은 분석.
■ 월가 분석가들은 11월 FOMC는 최근 뉴욕 증시의 주가 반등이 '베어 마켓 랠리임을 확인해준다고 진단.
■ 중간선거 결과에 관련된 불확실성이 증폭하거나 선거에 잡음이 나올 경우 S&P500 지수 또한 나스닥100 지수와 함께 과거 저점을 테스트할 것.
✅ 노르웨이, 25bp 금리 인상
■ 노르웨이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기존 2.25%에서 2.50%로 인상.
■ 노르웨이 중앙은행이 기준금리 인상 폭을 이전의 50bp에서 25bp로 축소.
■ 캐나다·호주에 이어 속도 조절.
✅ 미국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 7% 아래로 하락
■ 미국 30년 만기 고정 모기지 금리는 평균 6.95%로 지난주 7.08%에서 하락.
■ 이는 지난해 수준인 3.09%와 비교하면 여전히 두 배 정도로 높은 수준.
■ 샘 카터 프레디맥 수석 이코노미스트
- 전일 미 연준의 금리 인상이 주택시장의 발목을 잡을 것.
✅ 라가르드 ECB 총재, 연준의 정책으로부터의 파급효과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대차대조표 축소를 포함하여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
✅ 이그나치오 비스코 이탈리아 중앙은행 총재, 점진적이며 꾸준한 금리 인상 필요.
✅ 마르틴스 카작스 라트비아 중앙은행 총재, 금리는 훨씬 더 높아져야 하고, 멈출 필요가 없다.
✅ ECB 파비오 파네타 집행이사, 가능한 한 빨리 인플레이션을 2% 목표치로 되돌려야 하지만, 더 빨리는 안 된다.
■ 예상보다 큰 금리 인상은 변동성을 높이고 현재의 고 레버리지 환경에서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요아힘 나겔 독일 중앙은행 총재, ECB는 더 이상의 금리 인상을 자제해서는 안 된다.
■ 중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낮춰야 한다.
■ 정치적 압력이 가중된다고 해서 인상을 자제해서는 안 된다.
■ ECB의 대차대조표를 줄이는 한 가지 방법은 APP 프로그램을 줄이는 것.
✅ EU, 동결된 러시아 중앙은행의 자산을 우크라이나 재건에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 중.
✅ 아데예모 미 재무부 차관, 프랑스와 영국, 벨기에와 러시아 제재 및 유가 상한제에 대해 논의할 예정.
■ 블링컨 미 국무장관, 스웨덴 외무장관과 NATO 가입에 대해 논의.
■ 옌스 스톨텐베르그 NATO 사무총장, 이제는 핀란드와 스웨덴이 NATO에 가입할 차례.
✅ 리시 수낵 영국 총리는 에너지 기업에 대한 횡재세를 연장하는 것을 고려 중.
■ 제레미 헌트 영국 재무장관, 주식 배당금에 대한 세금 인상 준비 중.
✅ 호주의 9월 무역수지는 124억 4440만 호주달러(약 11조 2444억 원) 흑자를 기록.
■ 전월대비 19% 급증한 LNG를 비롯 광물, 연료 등의 수출 호조 때문.
✅ 한국은행, 향후 금융시장에 높은 변동성이 이어질 것.
✅ 세계 최대 컨테이너 해운사 머스크가 올해 3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
■ 다만, 향후 수요에 대해서는 둔화될 것이라고 경고.
■ 3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EBITDA가 109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
■ 이는 전년동기대비 60% 증가한 것이며 시장 예상치 98억 달러를 웃도는 수준.
✅ 알파벳, 계약직 근로자의 임금 투명성에 대한 스프레드시트 액세스 권한을 불법적으로 차단.
■ 이에 노조는 전국노동관계위원회에 불만을 제기함
✅ 아마존, 본사 인력 채용 동결.
✅ 스트라이프와 리프트, 10% 이상의 감원 발표.
✅ 구찌의 모회사인 케링이 톰 포드 인수를 위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해짐.
■ 에스티 로더 등과 경쟁을 벌여왔으며, 합의는 조만간 이뤄질 것 같다고 전해짐.
✅ 시리얼 회사인 켈로그(NYS:K)가 연간 이익과 매출 예상치를 상향 조정함.
■ 과자류와 신흥국 시장에서 약진이 실적 예상치 상향 조정의 배경이라고 설명함.
✅ 니오(NIO), 제로코로나 정책으로 중단되었던 허페이 공장 두 곳 목요일부터 재가동.
✅ 퀄컴은 스마트폰 출하량 감소 언급하며 매출 가이던스 하향 조정 여파로 -7.66% 하락.
✅ 애플은 폭스콘 공장 중단 소식으로 -4.24% 하락함.
✅ 언더아머는 달러 강세와 스포츠웨어 수요 감소 등으로 연간 전망을 하향 조정했으나 견고한 실적 발표와 연말 쇼핑시즌에 대한 기대감으로 +11.97% 급등함.
✅ 코노코필립스가 견고한 실적을 발표하며 +5.78% 상승함.
■ 이 영향으로 엑슨모빌 +1.36%, EOG리소스 +2.06% 등 여타 에너지 업종도 동반 상승.
■ 퍼스트솔라 +5.10%, 진코솔라 +2.46% 등 태양광 업종도 동반 상승.
✅ 모더나(MRNA) 실적 발표
■ 매출 33.6억 달러 / 컨센서스 35.3억 달러
■ EPS $2.53 / 컨센서스 $3.29
■ 모더나는 올해 코로나 백신 매출이 180억 ~ 190억 달러가 될 것으로 추산함.
- 이는 기존 전망치 210억 달러에 비해 하향 조정된 수준.
■ 코로나 팬데믹 종식으로 실적 둔화.
✅ 스타벅스는 미국 매장 매출 증가로 예상을 상회한 실적 발표하자 시간 외 +3% 상승.
■ 스타벅스(SBUX) 실적 발표(서프라이즈, 견고한 미국의 소비)
- 매출 84.1억 달러 / 컨센서스 83.1억 달러
- EPS $0.81 / 컨센서스 $0.72
- 북미 매출(YoY) +11% / 컨센서스 +7.57%
- 중국 매출(YoY) -16% / -21.7%
✅ 코인베이스(COIN) 실적 발표[컨센 하회]
■ 매출 5.90억 달러 / 컨센서스 6.43억 달러
■ EPS -$2.43 / 컨센서스 -$2.23
■ EBITDA : -$115.9M(3Q21 : +$618.2M)
■ Trading volume : $159B(3Q21 $327B / 2Q22 $217B)
■ Monthly Transact Users(MTU) 8.5M(3Q21 7.3M / 2Q22 9.0M)
■ 시총 930억 달러에서 현재 시총 125억 달러까지 오는데 18개월 소요.
■ 장중 -8.05% / 시간 외 +0.5%.
'시장관련 > 주요 이슈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1.10 주요 이슈 정리 (0) | 2022.11.10 |
---|---|
22.11.09 주요 이슈 정리 (0) | 2022.11.09 |
22.11.08 주요 이슈 정리 (0) | 2022.11.08 |
22.11.07. 주요 이슈 정리 (0) | 2022.11.07 |
22.11.03. 주요 이슈 정리 (0) | 2022.11.03 |
22.11.01 주요 이슈 정리 (0) | 2022.11.01 |
22.10.31 주요 이슈 정리 (0) | 2022.10.31 |
22.10.28 주요 이슈 정리 (0) | 2022.10.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