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10-25 오늘의 이슈: 中 투매 매수 기회? 옐런 경고
https://www.bloomberg.co.kr/blog/five-china-selloff-yellen-warning/
오늘의 5가지 이슈: 中투매 매수기회? 옐런 경고 - Bloomberg Professional Services - Korea
Bloomberg Professional Services connect decision makers to a dynamic network of information, people and ideas.
www.bloomberg.co.kr
✅ 뉴욕 증시는 메타와 알파벳 등 빅테크 실적 발표를 앞두고 연준의 긴축 속도 조절 기대 속에 2거래일 연속 상승.
➡ 월가의 대표적 약세론자인 모건스탠리의 Michael Wilson은
- 미국 주식에 대해 단기적 강세 의견 고수.
➡ Stifel Nicolaus 스트래티지스트들,
- 인플레이션이 식고 경기 침체가 내년 3분기쯤으로 미뤄질 수 있다.
- S&P 500 지수가 향후 6개월 안에 4300포인트까지 랠리를 펼칠 것.
➡ 반면 골드만삭스는
- 미국 경기 침체 리스크가 시장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
✅ 월요일 나스닥 골든 드래곤 차이나 지수, 장중 -21% 넘는 폭락.
➡ 시진핑 주석의 1인 독주 체제가 반시장 정책으로 기업과 경제의 숨통을 조일 수 있다는 우려가 투매를 부르는 모습.
➡ 알리바바 그룹과 바이두 ADR 모두 한때 -19% 이상 급락.
➡ JP 모간 수석 글로벌 시장 스트래티지스트 Marko Kolanovic는
- 중국 주가 급락이 펀더멘털과 동떨어졌다며 매수할 투자 기회.
✅ 미 행정부, 다음 달 G20 정상 회의에서 시진핑과 양국 정상 간 회동을 성사시키기 위해 노력 중.
➡ 미국 관료들, 미국의 대중 정책 기조는 바뀌지 않는다.
✅ 미국 민주당 진보파들은 바이든에게 러시아와 담판을 지어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낼 외교적 해법을 찾자고 촉구.
✅ 한편, 10월 한국의 향후 1년간 기대인플레이션율이 오히려 4.3%로 전월대비 0.1%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 소비자 심리지수(CCSI)는 88.8로 전월 91.4에서 하락.
✅ 中 주식·위안화 투매
➡ 달러-역내 위안화 환율, 한때 7.2648을 찍으며 2008년래 최고치 경신.
➡ 중국 인민은행(PBOC) 기준환율과 1.99%나 벌리면서 ±2%로 정해진 일일 허용 거래 범위 상단에 바짝 붙었다.
➡ 코로나 제로 정책 고수, 미-중간 금리 격차 확대 등이 자본 유출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
➡ 공산당 당대회가 끝나 위안화 방어 의지도 다소 시들해질 수 있어 일각에서는 달러당 7.4~7.5위안까지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
➡ HB Investments는,
- 시진핑의 절대 권력이 대내외적으로 강경노선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 코로나 제로 정책이 지속되거나 중국 테크기업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수 있다.
➡ Edmond de Rothschild Asset Management는,
- 진정한 항복의 순간.
- 중국 자산 매도세는 이제 시작에 불과할 수도 있다.
- 이번 당대회가 시장에 지금까지 경험한 것이 앞으로도 5년간 지속될 것이라는 매우 나쁜 신호를 주었다.
✅ 옐런의 경고
➡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 글로벌 경제와 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스트레스가 미국 금융 시스템을 혼란에 빠뜨릴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
➡ 대출 기준이 까다롭고, 은행 자본 충분, 가계와 기업의 재정 상태 “매우 양호”.
➡ 현재 미국 금융 시스템에서 우려할 만한 문제는 보이지 않는다.
➡ 리스크 계속해서 주시하고 있다.
➡ 미국채 거래는 큰 문제가 없지만 그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또한 미 재무부가 이 이슈에 “매우 집중하고 있다”.
- 미국채와 관련해 이번 달 들어 벌써 두 번째 발언.
➡ 대형 은행들의 시장조성 능력이 최근 시장의 속도를 쫓아가지 못해 유동성이 줄어들어 스트레스 상황에서 미국채가 취약해졌다.
✅ 기업 신용 여건 악화
➡ 글로벌 자산운용사 야누스 헨더슨 인베스터스는 기업의 신용 여건이 악화되고 있다고 진단.
- 자본 접근성과 부채 부담이 이미 “적색” 상태.
- 현금 흐름과 수익 전망마저 3분기 적색 신호를 보내고 있다.
- 중앙은행들의 금리 인상으로서 부채를 상환하기 위해 다시 자금을 조달하는 리파이낸싱 비용이 사상 최고치로 치솟았다.
➡ 야누스 헨더슨 인베스터스는 유럽의 경우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고 진단.
- 에너지 가격 급등이 생활비 위기를 촉발하면서 소비와 기업 이익이 위축.
- 결국 신용등급 하락과 디폴트 확산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 다만 위기가 임박한 것은 아니다.
- 경기 침체와 변동성 확대, 신용 여건 악화에 대비한 포트폴리오 포지셔닝이 현명하다.
➡ 한편 UBS Group은,
- 이자보상배율이 유로 레버리지론 대출자의 경우 향후 6개월-12개월 사이에 십 년래 최저 수준으로 하락할 수 있다.
※ 이자보상배율 - 기업이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
✅ 영국 총리에 리시 수낵
➡ 리시 수낵 전 재무 장관이 현지시간 화요일 영국 총리로 정식 취임한다.
- 길트채 2년 물 금리는 월요일 장중 41bp나 급락해 3.4% 부근으로 후퇴.
➡ 수낵은 월요일 안정과 단합을 강조하며 영국이 “심각한 경제적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경고.
- 앞서 수낵은 리즈 트러스의 대규모 감세안을 “동화”같은 얘기라고 비판, 재정건전성을 강조.
➡ ADM Investor Services Int의 Marc Ostwald는,
- 수낵은 재무 장관 시절부터 시장에서 믿을만한 인물로 인정받아.
- 워낙 세련된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고 있어 트러스 정부처럼 엉뚱한 실수를 하지 않을 것.
➡ BlueBay Asset Management의 Russel Matthews는,
- 수낵은 분명 시장이 선호하는 인물.
- 허니문 기대.
- 극단적인 신자유주의적 실험은 끝났다.
✅ BOJ 시장 모니터링
➡ 블룸버그가 입수한 일본의 경제 대책 초안에 따르면,
- 정부는 중앙은행과 정책 공조 강조.
- 일본은행(BOJ)에게 금융 시장 모니터링 맡길 계획.
➡ 구체적인 부양 패키지 규모는 나와있지 않지만, 보도에 따르면 26조 엔 정도라고.
➡ '시장 변동을 주시해야 한다는 문구'가 들어갔다는 점은 BOJ가 엔화 폭락에 따른 충격을 완전히 무시할 수 없음을 시사.
➡ Ichiyoshi Securities의 Nobuyasu Atago는,
- 기시다 총리 지지율이 하락하면서 정치권이 BOJ에 엔화 약세를 악화시키는 정책 지속에 대해 다소 신중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 BOJ가 이번 주 기존 노선을 유지하겠지만 갑자기 정책을 조정할 테일리스크도 있다.
➡ 한편 일본이 지난 금요일 환율 방어를 위한 외환시장 개입에서 370억 달러를 쏟아부은 것으로 추정된다.
'블룸버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0.31 오늘의 이슈: 美·英 75bp 유력, 식량 위기 (0) | 2022.10.31 |
---|---|
22.10.28 오늘의 이슈: ECB 마지막 75bp? BOJ 긴장 (0) | 2022.10.28 |
22.10.27 오늘의 이슈: 긴축 막바지? 메타마저 실망 (0) | 2022.10.27 |
22.10.26 오늘의 이슈: 美 수요 파괴 조짐? 中 혼란 수습 (0) | 2022.10.26 |
22.10.24 블룸버그 : 中 리스크, 日 깜짝 환율 개입 5% (0) | 2022.10.24 |
22.10.21 블룸버그 : 日 스텔스 개입? 美 최종 금리 5% (0) | 2022.10.21 |
22.10.20 블룸버그 : 美 금리 기록 경신, 英 와해 위기 (0) | 2022.10.20 |
22.10.19 블룸버그 : BOE 길트 매도, 투자자 항복 (0) | 2022.10.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