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09.21 주요 이슈 정리
✅ 9월 21일
➡ FOMC 기준금리 결정
➡ EU 유럽중앙은행(ECB) 비통화 정책회의
➡ 미국 8월 기존주택판매
➡ 미국 EIA 주간 원유재고
➡ 미국 주간 MBA 모기지 신청 건수
➡ G20 글로벌 금융 안정 콘퍼런스 개최
✅ 전일 발표된 지표
➡ 미국 8월 건축허가건수, 발표 151.7만 건, 예측 161만 건, 이전 168.5만 건
- 미국 8월 건축허가건수, (MoM) 발표 -10.0%, 이전 -0.6%
- 미국 8월 건축허가건수 YoY -14.4% 감소
➡ 미국 8월 주택착공건수, 발표 157.5만 건, 예측 144.5만 건, 이전 140.4만 건
- 미국 8월 주택착공건수, (MoM) 발표 12.2%, 이전 -10.9%
➡ 미국 API 주간 원유 재고, 발표 1.035M, 예측 2.321M, 이전 6.035M
➡ 독일 8월 생산자물가지수, (YoY) 발표 45.8%, 예측 37.1%, 이전 37.2%
- 독일 8월 생산자물가지수, (MoM) 발표 7.9%, 예측 1.6%, 이전 5.3%
- 에너지를 제외한 수치는 전년대비 14.0% 증가해 지난달 발표된 14.6%보다는 둔화.
✅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
➡ 금리 인상 속도는 인플레이션 기대를 억제하겠다는 ECB의 결의를 나타내는 핵심 도구.
➡ 기대 인플레이션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 지난 두 차례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125bp 인상한 이유.
➡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훨씬 높고 지속적.
➡ 높은 인플레이션 기간이 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문제로 이어지는 것을 보고 있지 않을 것.
➡ 금리를 더 올릴 것으로 예상.
✅ 미국의 30년 국채 수익률이 2014년 4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
✅ 금리 선물시장 트레이더들, 내년 4월까지 최종 금리가 4.5%에 달할 것으로 예상.
➡ 이코노미스트들도 최종 금리가 4%를 웃돌 것으로 예상.
✅ 금융시장, 연준 3회 75bp 인상 전망
➡ WSJ은 연준이 세 번 연속 75bp 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보도.
➡ 연준 당국자들은 지난 6월 전망에서 올해 3.25%를 넘어 내년에 4%에 근접하는 수준까지 올릴 것으로 전망했음.
✅ 월가 전문가, 75bp 금리 인상 후 긴축 속도 줄일 것.
➡ 8월 인플레이션이 완고하게 높게 나온 것은 아직 연준이 해야 할 일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
➡ 9월 75bp 인상, 11월에 50bp 인상, 12월에 25bp 인상할 것.
➡ 2024년 초까지 금리를 4% 수준에서 유지할 것.
✅ 9월 FOMC 파월 기자회견
➡ 대략 제약적인 정책에 대한 얘기이며, 물가 안정이라는 가장 중요한 목표를 위해 일정 기간 그 수준에 있을 것이라는 점에 관한 얘기일 것.
✅ 달러 20년래 최고 재근접, FOMC 앞두고 단기 수요 강력.
➡ 달러인덱스 110.18을 기록, 20년 만에 최고인 110.79를 턱밑까지 추격.
➡ 올 들어 달러는 15% 뛰어 41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세를 보임.
✅ 스웨덴 중앙은행인 릭스방크가 20일 기준금리를 0.75%에서 1.75%로 100bp 전격 인상함.
➡ 릭스방크가 기준금리를 100bp 인상한 것은 1992년 11월 이후 처음.
- 100bp 인상은 로이터의 전망치 0.75%p를 웃도는 수준임.
➡ 스웨덴 릭스방크는 내년 GDP -0.7% 역성장 예상.
- CPI 상승률 8.5% 예상.
➡ 100bp 금리 인상은 지난 7월 캐나다 중앙은행 이후 처음.
✅ 유엔 사무총장, 전 세계적 '불만의 겨울' 다가온다.
➡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지구 온난화, 분쟁 등으로 인한 '불만의 겨울'을 엄중하게 경고.
➡ 화석 연료에 중독돼.
➡ 화석 연료 회사에 책임 물어야.
➡ 이번 총회는 전 세계를 둘로 나눈 '우크라이나 전쟁'이 주요 화두.
✅ 사우디 아람코 CEO, 우크라이나 분쟁이 끝나더라도 에너지 위기는 끝나지 않을 것.
➡ 에너지 위기의 실질적인 원인은 석유와 가스에 대한 투자 부족.
✅ 독일의 8월 생산자 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45.8% 급등해 역사상 최고치를 기록함.
➡ 에너지 가격이 전년 대비 139.0% 급등, 전기 요금 인상이 yoy +174.9% 급등함.
➡ 에너지를 제외한 수치는 전년 대비 14.0%, 전월 대비 0.4% 상승에 그침.
➡ 결국 천연가스 가격 급등이 전기 요금 상승을 불러와 고정지출 증가에 따른 것으로 풀이됨.
➡ 전일 분데스방크의 경기 침체 경고를 했음.
✅ 독일은 에너지 위기의 여파로 가스 수입업체 유니퍼의 국유화를 계획 중.
✅ 카타르 외무장관은 독일과 카타르의 에너지 협상이 여전히 진행 중이라고 밝힘.
✅ 러시아 국영 가스회사 가스프롬이 '시베리아의 힘' 가스관을 통한 중국에 대한 가스 공급을 이달 22일부터 29일까지 중단한다고 밝힘.
➡ 가스프롬은 예정된 점검 작업을 위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설명함.
✅ 중국이 원유, 석유제품, 가스 및 석탄 등 러시아산 에너지에 대한 의존도를 지속적으로 높여가고 있음.
➡ 지난 8월 중국이 러시아로부터 전년 동기 대비 68% 늘어난 규모의 에너지를 수입했으며, 이는 기록적인 양의 석탄을 포함하고 있다고 보도됨.
✅ 설리번 백악관 국가 안보보좌관
➡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의 식량 불안정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투자 계획을 발표할 예정.
✅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 최전선의 상황은 우크라이나가 주도권을 쥐고 있음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다.
✅ EU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일부 지역에서 국민투표를 실시하려는 계획을 강력히 규탄하였으며 투표 결과를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힘.
✅ 미국은 우크라이나에서 국민투표를 실시하려는 러시아의 계획을 거부하였으며, 우크라이나 일부에 대한 러시아의 주장을 결코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힘.
✅ 바이든 대통령은 유엔총회 연설에서 러시아의 전쟁은 유엔 헌장의 교리를 위반하는 행위라고 말함.
✅ 조선 중앙 통신에 따르면 김정은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서한을 보냈으며, 김정은은 중국과의 관계가 새로운 단계로 발전할 것이라고 말함.
✅ 튀르키예 최대 은행 중 2곳이 미국의 대러 제재 위반 경고에 러시아의 미르 결제 시스템 사용을 중단함.
➡ 이스방크와 데니즈방크는 러시아의 자체 카드결제시스템 미르 사용을 중단하기로 발표함.
✅ 국내 주식 소수점 거래 열리지만, 실효성은 '의문'
➡ 미래에셋·삼성· KB · NH 등 대형사 다음 주 서비스 시작.
➡ 0.1주 0.01주 매매도 가능해져 접근성 확대 기대.
➡ 거래대금 반 토막, 50만 원 넘는 주식도 0.3% 수준.
➡ 가시적 효과 어려울 것.
➡ 제2 동학 개미 대비 차원
✅ 무역수지 적자 → 투자매력 저하, 외화 유출 우려.
➡ 환차손 우려로 외국인 국내 주식 매도 압력 증가.
✅ 포드 12.32% 폭락, 미 증시 끌어내려.
➡ 포드는 인플레이션이 급등하면서 부품 가격이 올라 분기 영업이익이 10억 달러 정도 줄 것이라고 밝혀.
➡ 공급망 차질로 미완성 차 재고가 늘면서 차량 인도 대수 감소 경고.
➡ 실적 둔화 이슈를 자극하며 급락.
➡ GM도 -5.63% 동반 하락.
➡ 지난 주말 21% 이상 폭락해 미국 증시는 물론 세계 증시를 끌어내린 페덱스를 연상케 해.
✅ 리서치 회사 NPD에 따르면 8월 비디오 게임 하드웨어, 콘텐츠 및 액세서리에 대한 미국의 소비자 지출은 41억 달러로 1년 전보다 5% 감소함.
✅ 미국 애플이 최근 기록적으로 오른 달러 가치를 감안해 한국 등 아시아와 유럽에서 앱스토어와 인앱결제 요금을 인상하기로 함.
➡ 가격 인상은 오는 10월 5일부터 반영될 전망임.
➡ 애플은 이번 요금 인상의 근거에 대해 따로 설명하지 않음.
➡ 애플은 앱스토어 가격 인상 발표로 실적 개선 기대에 힘입어 +1.57% 상승.
➡ 미국 내에서는 가격을 유지해 점유율을 높이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
✅ 엔비디아(NVDA)는 '에이다 러브레이스'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그래픽 카드를 공개함.
➡ 자율 주행을 위한 새로운 시스템을 출시했으나 시장 위축 여파로 -1.54% 하락.
✅ 마이크로소프트(MSFT)는 분기 배당금 증가를 발표함.
➡ $0.62에서 $0.68.
✅ 나이키는 바클레이즈가 중국 내에서의 매출 변동성 확대 및 북미지역 등의 수요 감소를 이유로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하자 -4.47% 급락.
➡ 갭은 매출 부진을 이유로 구조조정을 단행한다고 발표하자 -3.26% 하락.
✅ 페이팔은 2013년 인수했던 브레인트리가 페이팔에서 차지하는 매출 비중이 증가한 가운데 관련 비용 압박 등에 대한 우려를 이유로 투자의견이 하향 조정되자 -3.58% 하락.
✅ 모더나는 바이든 대통령의 팬데믹 종료 언급에 대해 미 행정부가 원론적인 발언이라며 의미를 축소하자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1.41% 상승.
✅ 유나이티드헬스의 체인지헬스케어 인수와 관련 연방 법원이 독과점 반대 소송 기각 소식에 체인지 헬스는 강세를 보인 반면 유나이티드 헬스는 -0.14% 하락함.
https://link.coupang.com/a/CBEDh
슈가로로 스파클링 샤인머스캣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시장관련 > 주요 이슈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9.27 주요 이슈 정리 (0) | 2022.09.27 |
---|---|
22.09.26 주요 이슈 정리 (1) | 2022.09.26 |
22.09.23 주요 이슈 정리 (1) | 2022.09.23 |
22.09.22 주요 이슈 정리 (0) | 2022.09.22 |
22.09.20 주요 이슈 정리 (1) | 2022.09.20 |
22.09.19 주요 이슈 정리 (1) | 2022.09.19 |
22.09.16 주요 이슈 정리 (1) | 2022.09.16 |
22.09.15 주요 이슈 정리 (1) | 2022.09.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