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장관련/주요 이슈 요약

22.09.23 주요 이슈 정리

by 인베스팅1 2022. 9. 23.

 22.09.23 주요 이슈 정리

 

✅ 9월 23일

 미국 9월 합성 PMI 예비치

 미국 9월 제조업 PMI 예비치

 미국 9월 서비스업 PMI 예비치

 미국 주간 원유 채굴장비 수

➡ EU 9월 합성 PMI 예비치

 독일 9월 합성 PMI 예비치

 영국 9월 CIPS / S&P 글로벌 합성 PMI 예비치

 영국 9월 GFK 소비자신뢰지수

 美 파월 Fed 의장 'Fed Listens' 환영사

 독일 요아힘 나겔 분데스방크 총재 연설

 일본 증시 추분의 날 휴장

 러 점령지 합병 투표 실시 예정

 

✅ 전일 발표된 지표

 영국 기준금리 결정, 발표 2.25%, 예측 2.25%, 이전 1.75%

 미국 8월 경기선행지수, (MoM) 발표 -0.3%, 예측 0.0%, 이전 -0.5%

- 6개월 연속 하락.

- 콘퍼런스보드, 경기선행지수가 여섯 달째 하락한 것은 잠재적 경기 침체를 시사한다.

- 수 분기 안에 경기 침체 전망.

 미국 2분기 경상수지, 발표 -251.1B, 예측 -260.6B, 이전 -282.5B

 미국 주간 신규실업수당신청건수, 발표 21.3만 건, 예측 21.8만 건, 이전 20.8만 건

- 4주 평균 청구 건수, 발표 21만 6,750건, 이전 22만 2,750건.

 유로존 9월 소비자 신뢰지수, 발표 -29, 예측 -26, 이전 -25

- 역대 최저치를 기록.

- 코로나 사태 당시보다 더 낮은 수준.

- 러-우 전쟁에 따른 에너지 위기로 인해 사상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

 한국 8월 PPI, (YoY) 발표 8.4%, 이전 9.2%

- 한국 8월 PPI, (MoM) 발표 -0.3%, 이전 0.3%

- PPI는 전년 대비로는 21개월 연속 상승.

- 전월대비 하락세는 2020년 10월 0.4% 하락한 이후 1년 10개월 만에 처음.

 

 

 미 국채 10년 물의 수익률은 201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함.

 

 30년 고정 모기지 이자율이 6.29%를 기록했으며, 이는 2008년 10월 이후 최고치.

 

 연방기금 금리선물, 내년 1월 최종 금리 도달 전망.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투자자들은 내년 3월에 금리 수준이 5% 부근에 도달할 가능성을 30% 이상 반영.

- 4.75~5.00%에 도달할 확률은 29.9%로 반영.

- 5.00~5.25%에 달할 확률을 0.1%로 반영.

 연준이 전망한 4.6% 최종 금리는 내년 1월에 도달할 것으로 내다봐.

 

 연준이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을 흡수하는 역레포(RRP) 유입액이 역대 최대를 경신함.

 역레포는 연준이 은행과 MMF 등에 미국 국채를 빌려주는 대신 현금을 받는 창구로, 당국이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수단.

 하루짜리 역레포 기구로 2조 3천590억 달러 유입.

 FFR 목표치 하단 역할을 하는 역레포 금리는 기존 2.3%에서 3.05%로 인상.

 

 영란은행(BOE)이 기준금리를 1.75%에서 2.25%로 50bp 인상하며 두 번 연속 빅스텝을 단행함.

 영란은행은 지난해 12월부터 7회 연속 금리를 인상했음.

➡ BOE

- 경기가 침체 국면에 접어들었어도, 필요하다면 계속해서 인플레이션에 강력하게 대응.

- 금통위원 9명 중 5명 찬성.

- 반대 의견 3명은 0.75%p, 1명은 0.25%p 인상 지지.

 영국의 지난 7월 CPI 10.1%로 4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뒤 8월 9.9%로 소폭 완화.

 

 일본은행(BOJ)이 기존의 대규모 통화 완화정책을 유지하기로 결정함.

 미 연준의 3연속 자이언트스텝 단행에도 금리 동결을 결정한 것.

 일본과 미국 간 정책 금리차가 한층 더 확대됨.

 이 여파로 엔화 가치는 24년 만에 최저치로 내려앉음.

 

 스위스 중앙은행, 기준금리를 기존 -0.25%에서 0.5%로 75bp 인상.

 유럽중앙은행(ECB)에 이어 스위스도 마이너스(-) 금리 시대에 종지부를 찍음.

 스위스는 마이너스 금리를 2015년 1월부터 유지해왔음.

 

 노르웨이 중앙은행, 기준금리를 기존 1.75%에서 2.25%로 인상.

 2011년 이후 최고치로 금리 인상 단행.

 

 글로벌 중앙은행들, 강하고 빠르게 금리 인상.

 모두 10개 국가의 금리 결정이 단행.

 ING는 이날을 '슈퍼 목표일'이라고 지칭.

 일본은 기준금리를 -0.1%로 동결하면서 예외적으로 통화 완화 정책 유지.

 튀르키예(터키)는 기준금리를 12%로 1%포인트 인하하면서 완화 정책.

 나머지 8곳은 모두 금리를 대폭 인상.

 세계은행(WB), 글로벌 중앙은행들이 지난 50년 사이 볼 수 없었던 수준으로 동시에 금리를 올리고 있다.

 

 JP모건 CEO, 인플레이션이 완화될 가능성은 높지만 스태그플레이션은 여전히 위험.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은 연준의 물가 상승률 목표치 (2%)와 관련, 내년까지 달성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언급함.

 연준이 강한 노동시장을 유지하면서 인플레이션을 해결할 수 있기를 매우 희망(very much hope.)

 대만은 유일한 첨단 반도체 공급원, 해당 문제는 국가 안보에 위협.

 러시아는 중국과 인도에 막대한 석유 할인을 제공하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슈가 아직 끝나지 않았고, 푸틴 대통령이 전쟁에서 석유와 가스를 무기화하고 있어 여전히 공급망 충격에 취약한 상태.

 

 슈나벨 ECB 집행위원,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인 2% 부근에서 안정되려면 2024년까지 걸릴 것.

 유로존 전체적으로 경기 침체(Recession)보다는 경기 둔화(stagnation)를 예상.

 

 EU는 푸틴 대통령의 부분적인 예비군 동원령에 대응해 8차 대러 제재에 나서기로 합의.

 EU 외무장관들은 이날 공동성명에서 푸틴 대통령의 동원령을 규탄.

 8차 대러 제재는 러시아산 석유가격 상한제와 민간첨단기술 등에 대한 추가적인 수출 통제 등을 의미.

 8차 대러 제재와 관련한 공식 결정은 10월 중순 EU 외무장관 회의를 통해 이뤄질 예정.

 

 G7 외교장관들, 우크라이나에 대한 전방위적 지원을 확대하기로 합의함.

 G7 외무장관들은 우크라이나의 자유, 평화, 재건, 경제발전을 위해 우크라이나가 필요한 만큼의 경제적, 재정적, 인도적, 군사적, 외교적 지원을 이어가겠다는데 만장일치로 동의했음.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러시아가 유엔에서 하는 중요한 역할을 박탈해선 안 된다고 주장함.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러시아를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에서 퇴출하자는 안보리 재편론이 강하게 제기되는 상황에서 러시아를 옹호하고 나선 것.

 

 금요일 뉴욕에서 블링컨 미 국무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회담을 가질 예정.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 안보회의 부의장

 핵무기를 포함한 모든 무기는 러시아의 영토를 방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레드핀은 고급 주택의 판매량이 28.1% 감소했다고 밝힘.

 이는 코로나 팬데믹 당시 23.2%를 능가하는 수치.

 

 뉴욕 맨해튼 평균 월세가 6개월 만에 하락 반전했습니다.

 

 미국 가스 가격이 재고 증가로 -7.6% 하락함.

 

 바이든 대통령은 기업의 기록적인 이익을 예시로 들며, 미 에너지 산업(기업)에 소비자들을 위해 비용을 낮추라고 말함.

 

 나이지리아 석유 장관은 유가가 계속 하락할 경우 OPEC이 추가 감산을 '강제'로 시행할 수 있다고 말함.

 

 미 재무부는 미국은 엔화에 개입하지 않았다고 밝힘.

 

 중국이 태양광 발전 설비 투자를 큰 폭으로 늘리고 있음.

 중국 국가에너지국에 따르면 1월부터 8월까지 발전 기업들의 전력 프로젝트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18.7% 증가한 3,209억 위안(약 63조 9,265억 원)을 기록.

 이중 태양광 설비 투자는 1,025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3.8% 급증함.

 

 중국이 시진핑 국가 주석의 1년 전 약속과 달리 외국에서 14개의 석탄화력발전소를 완공, 조만간 27개를 더 추가할 것이라고 알려짐.

 중국이 완공했거나 완공 예정인 화력발전소에서는 연간 약 1억 4천만 t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될 것으로 예상.

 이는 필리핀의 연간 배출량 수준을 넘음.

 

 테슬라(TSLA)는 미국에서 약 110만 대의 차량을 리콜하기로 결정함.

 차량의 창문 안전 관련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로 미국에서 판매한 차량 110만 대를 자진 리콜 조치함.

 테슬라는 110만 대 리콜 소식으로 -4.06% 하락함.

 

 마이크로소프트(MSFT)는 내년 중국에서 1,000명의 직원을 신규 채용할 것으로 알려짐.

 

 엔비디아는 기술력 개선 속도가 과거에 비해 느려질 수 있다는 분석 제기에 -5.28% 하락함.

 이는 실적 개선 속도가 향후에 느려질 수 있다는 점을 자극해 밸류에 이션 부담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

 AMD도 -6.69% 동반 하락,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2.81% 하락.

 

 페덱스가 평균 6.9% 이상의 물류비 인상을 발표하며 2023년 최대 23억 달러 비용 절감 계획을 발표함.

 

 일라이릴리는 FDA가 비소세포폐암 치료 약물을 승인했다는 소식에 +4.85% 상승.

 머크는 시타글립틴 관련 특허 소송에서 승리했다는 소식에 +3.53% 상승.

 

 국내 대형 시중은행들이 주택 개발 PF 대출 심사를 중단한 것으로 전해짐.

 

 

https://link.coupang.com/a/CLPE8

 

오뚜기 맛있는 컵밥 톡톡 김치알밥 222g x 3p + 참치마요덮밥 247g x 3p + 오삼불고기덮밥 310g x 3p + 제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시장관련 > 주요 이슈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9.29 주요 이슈 정리  (1) 2022.09.29
22.09.28 주요 이슈 정리  (0) 2022.09.28
22.09.27 주요 이슈 정리  (0) 2022.09.27
22.09.26 주요 이슈 정리  (1) 2022.09.26
22.09.22 주요 이슈 정리  (0) 2022.09.22
22.09.21 주요 이슈 정리  (1) 2022.09.21
22.09.20 주요 이슈 정리  (1) 2022.09.20
22.09.19 주요 이슈 정리  (1) 2022.09.1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