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09-30 오늘의 이슈: 英 도박, 獨 물가 쇼크, 위기 경고
https://www.bloomberg.co.kr/blog/five-uk-gamble-german-inflation/
오늘의 5가지 이슈: 英도박, 獨물가쇼크, 위기경고 - Bloomberg Professional Services - Korea
Bloomberg Professional Services connect decision makers to a dynamic network of information, people and ideas.
www.bloomberg.co.kr
✅ S&P 500 지수는 -2% 넘게 빠져 종가 기준 2020년 11월래 저점으로 후퇴.
➡ 애플은 BofA 애널리스트가 수요 둔화를 이유로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 조정한 영향에 주가가 한때 6.1% 급락.
➡ 미국채 10년 물 금리는 한때 13bp 넘게 올랐고, 길트 10년 물은 21bp 점프했다.
➡ 영국 총리의 감세안 ‘유턴’ 거부로 다시 투매.
✅ 연준 위원들이 영국발 금융시장 혼란과 경기 침체 우려에도 금리 인상을 쉬어갈 생각이 없음을 분명히 밝힘.
✅ 미국 신규 실업수당 신청자수가 주간 19만 3000명으로 5개 월래 최저 수준으로 감소.
✅ 독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자릿수를 기록하면서 인플레이션 고착화 우려를 부추겼다.
✅ 캐나다 모기지 주택공사, 대출금리 상승으로 부동산 시장 침체가 길어져 전국 집값이 최대 15%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
✅ FTSE 러셀이 한국을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을 고려하기 위한 관찰대상국(워치리스트)에 추가했지만 당장의 시장 불안에 큰 도움이 되긴 어려워 보인다.
✅ 한편 북한은 28일에 이어 29일에도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을 발사해 지정학적 긴장을 고조시켰다.
➡ 미국의 핵 추진 항공모함을 포함한 한미연합훈련과 예정된 한미일 연합훈련, 미국 부통령의 방한 등에 반발하는 무력시위로 분석.
✅ 英 트러스의 도박
➡ 리즈 트러스 영국 총리는 자신의 감세정책을 철회할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 정부가 옳은 결정을 했다고 확신한다.
➡ 그의 발언 후 길트채 2년 물 금리는 한때 27bp 가량 급등했고, 파운드는 최대 1.2% 밀린 뒤 저가 매수세에 힘입어 재차 반등.
✅ 독일 물가 쇼크
➡ 독일의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전년비 10.9%(유로권 기준)로 시장 예상치 10.2%를 상회함.
- 유로존 출범 이래 처음으로 인플레이션이 두 자릿수 기록.
- 대중교통과 연료비 할인 제도 종료 및 에너지 위기 악화 영향.
➡ 독일 정부는 기존 팬데믹 지원 펀드와 추가 2000억 유로를 투입해 천연가스 가격 상한제를 추진하겠다고 발표.
➡ 유로존 경기기대지수는 기록적 인플레이션과 에너지 부족 우려 속에 9월 93.7로 2020년래 최저 수준으로 후퇴.
➡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 독일의 인플레이션이 내년까지도 높은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
- 내년 CPI 상승률을 7% 정도로 전망.
➡ 필립 레인 ECB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 10월 75bp 인상 주장에 대해 아직 다음 인상폭을 결정하기엔 너무 이르다.
➡ Martins Kazaks와 Gediminas Simkus, Madis Muller 정책 위원 등은,
- 다음 회의에서 75bp 인상 지지 시사.
✅ 연준 중단 없다
➡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 점도표를 보면 FOMC가 올해 상당한 추가 움직임을 예상하고 있다.
- 내 생각에 시장이 이를 소화하고 제대로 해석하고 있는 듯 보인다.
➡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역시,
- 아직 제약적 영역에 와 있지 않다.
- 실질 금리가 플러스 영역에 있어야 하고 한동안 거기에 머물러야만 한다.
- 인플레이션이 보다 오래갈 수 있어 예상하는 것보다 금리가 약간 더 올라가야 한다는 의견.
➡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는,
- 물가 안정을 되찾을 때까지 연준이 계속해서 금리를 올릴 방침.
- 그 과정에서 심각한 경기 하강은 피하도록 노력하겠다.
➡ 투자자들은 11월 75bp에 이어 12월 50bp 인상을 베팅하고 있다.
✅ ‘글로벌 시장 위험, 2007년 8월 위기전과 같다’
➡ 로렌스 서머스 전 미국 재무 장관, 글로벌 경제가 2007년 여름 위기 직전과 같은 상황에 처해 있다고 경고.
- 영국의 혼란 등 리스크가 높아졌다.
- 2007년 8월 사람들이 염려하기 시작했던 것처럼 지금이 그럴 때인 것 같다.
- 영국 외에 아직 다른 시장에서 무질서가 보이진 않는다.
- 현재의 취약 요인으로는 높은 레버리지, 경제 정책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 높은 기저 인플레이션에 대한 불안, 원자재 상품 변동성,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및 중국과 관련한 지정학적 긴장 등을 꼽았다.
➡ 특히 주목해야 할 부분은 일본의 딜레마.
- 한편으론 자국 통화 방어를 위해 지난주 엔화를 매입하며 시장에서 유동성을 거둬들이면서 다른 쪽에선 일본은행(BOJ)의 통화 완화를 통해 유동성을 계속 투입하고 있다고 설명.
➡ 영국의 경우 “매우 복잡한 미지의 영역”.
- 영란은행의 길트채 매입은 시장 안정에 도움이 되겠지만 10월 14일로 시한을 정한 개입이기 때문에 그 효과가 오래가긴 어렵다.
- 문제는 시장이 영국의 거시경제 정책이 지속 가능하다고 믿지 않는 데 있다.
✅ 메타도 비용 감축
➡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소유한 메타 플랫폼스가 비용을 줄이기 위해 설립 이래 처음으로 인력 감축 예고.
➡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는,
- 지금쯤이면 경제가 훨씬 분명히 안정되었기를 희망했는데 현재 상황은 아직 그렇지 않은 것 같다.
- 따라서 다소 보수적으로 계획하길 원한다.
- 채용을 동결하고 심지어 성장하는 부서를 포함해 대부분 팀의 예산을 줄이겠다.
➡ 소프트뱅크는 적자 상태인 비전 펀드의 직원을 최소 30% 내보낼 방침.
➡ RBC Capital Markets는 미국 투자은행 팀 중 1%를 해고했다.
➡ 구글은 2019년 런치한 스타디아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를 실적 부진을 이유로 중단.
➡ 아마존닷컴은 미국 내 콜센터를 한곳만 남기고 모두 닫을 예정.
- 수백 명의 직원을 재택근무로 전환해 사무실 비용을 절감할 계획.
'블룸버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0.07 블룸버그 : 매파 경고 연발, 피봇 증거 희박 (2) | 2022.10.07 |
---|---|
22.10.06 블룸버그 : 연준 피봇 찬물, OPEC+ vs 바이든 (0) | 2022.10.06 |
22.10.05 블룸버그 : 연준 피봇 거래, OPEC+ 빅컷? (1) | 2022.10.05 |
22.10.04 블룸버그 : 美 지표 부진, 英 항복, OPEC+ 감산 (0) | 2022.10.04 |
22.09.29 블룸버그 : BOE 비상조치, 달러 조정 신호 (1) | 2022.09.29 |
22.09.28 블룸버그 : 연준 경기 낙관, 유럽 가스 위기 (0) | 2022.09.28 |
22.09.27 블룸버그 : 파운드 구제 실패, 킹 달라=위기 (0) | 2022.09.27 |
22.09.26 블룸버그 : 英 최악 부양책? 숨을 곳이 없다 (0) | 2022.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