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명간 퀀트

유명간 퀀트전략 : 주가 상승 지속 조건은 거래대금 회복

by 인베스팅1 2022. 10. 27.

 유명간 퀀트전략 : 주가 상승 지속 조건은 거래대금 회복

 

유명간퀀트-주가 상승 지속 조건은 거래대금 회복 2022-10-27 미래에셋증권 Daily.pdf
2.58MB

출처 : 미래에셋증권 데일리 2022-10-27

 

 

 주가 바닥의 신호들 - 밸류에이션보단 거래대금에 주목

 미 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기대감에 따른 투자 심리 개선.

 다만, 거래대금 감소 추세는 지속.

 KOSPI의 10월 평균 거래대금은 7.3조 원으로 상반기 10~12조 원 수준 대비 -28% 감소.

 KOSDAQ의 거래대금은 상반기 대비 -33% 감소한 5.4조 원 수준.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중은 각각 -0.4%,-1.7%로 하락 추세.

 

 

 

 주가 하락 국면에서 거래량 또는 거래대금 감소는 현재 가격 수준에서 매도하고자 하는 투자주체가 적다는 뜻.

 주가 바닥 = 거래량 바닥.

 현 지수대에서 의미 있는 상승이 지속되기 위해선 거래대금 증가 필수적.

 KOSPI의 최근 3개월간 지수대별 거래 비중,

- 2,400p~2,450p에 많은 거래대금이 밀집(23.0%).

 KOSDAQ의 최근 3개월간 지수대별 거래 비중,

- 700p~760p 구간에 매물 부담이 적고(7.8%), 절반 이상의 매물 비중이 780p 이상에 집중.

 고객 예탁금 감소에, 매물 누적 주체가 개인투자자라는 점을 감안하면 거래대금 증가를 통한 매물 소화 과정 필요.

 

 

 

 

 

 공매도 거래 비중도 KOSPI200은 12.9%, KOSDAQ150은 11.7%를 상회한 이후 소폭 하락.

 현재 8.8%, 7.8%

 과거 공매도 거래 비중 고점과 지수 바닥이 대체적으로 일치.

 내년 국내 기업들의 합산 영업이익 증가율은 +2.5%로 1개월 전, 3개월 전 각각 +8.5%, +10.1% 대비 빠르게 하향 조정.

 중장기적으로는 물가 상승률 피크아웃 이후 기업들의 매출 둔화 이슈가 남아있음.

■ 다만, 단기적으로 실적 시즌 이후 컨센서스의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판단.

 

 

 

 

 

댓글